•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올해 2분기 기업 매출 감소 전환… 전년 동기比 4.3% ↓

성장·수익성 악화… 영업이익률·부채비율 하락

  •  

cnbnews 한원석⁄ 2023.09.12 14:30:18

부산항 신선대 컨테이너 부두 모습. 사진=연합뉴스

올해 2분기(4~6월) 국내 기업들의 성장성과 수익성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경기 부진으로 반도체 등 주요 수출품 가격이 떨어지면서 작년 같은 기간보다 매출액 증가율은 마이너스(-)로 돌아섰고 영업이익률과 부채비율도 하락했다.

12일 한국은행(한은)이 발표한 ‘2023년 2분기 기업경영분석’에 따르면 2만2962개 외부감사대상 법인기업(외감기업)의 매출액 증감률은 작년 2분기 대비 4.3%나 감소했다.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줄어든 것은 2020년 4분기(-1.0%) 이후 처음이다. 같은 기간 총자산증가율도 작년 2분기보다 축소됐다. 매출액과 총자산증가율은 기업의 성장성을 나타내는 지표다.

제조업의 매출액 증감률은 -6.9%로 전년 동기(22.2%) 대비 크게 하락하며 마이너스 전환했다. 업종별로 보면 글로벌 성장세 둔화와 IT(정보기술) 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석유화학이 1분기(-3.5%)보다 감소한 –17.1%, 기계·전기전자가 1분기(–14.3%)보다 줄어든 –15.4%를 기록했다.

비제조업 매출 증가율도 작년 2분기 18.2%에서 –0.7%로 급락했다. 기저효과와 운임지수 하락의 영향으로 전기가스업이 1분기(19.8%)보다 하락한 10.0%, 운수업이 1분기(-5.9%)보다 감소한 –14.8%를 기록했다.

다른 성장성 지표인 총자산 증가율도 1.1%로 지난해 2분기(2.3%)에 비해 축소됐다. 업종별로는 제조업(2.9%→1.7%)과 비제조업(1.6%→0.3%),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2.2%→0.6%)은 축소됐지만 중소기업(2.9%→3.5%)은 상승 폭이 확대됐다.

2분기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3.6%로 작년 2분기(7.1%)보다 3.5%p 하락했다. 업종별로는 같은 기간 제조업이 작년 8.6%에서 올해 2.9%로, 비제조업은 5.1%에서 4.6%로 모두 떨어졌다. 대기업은 작년 2분기(7.4%)보다 4.1%p 하락한3.3%, 중소기업은 0.8%p 떨어진 5.0%를 기록했다.

다른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 세전순이익률도 6.0%로 지난해 2분기(7.2%)에 비해 하락했다. 제조업(9.0%→7.1%)과 비제조업(4.9%→4.4%), 대기업(7.7%→6.2%)과 중소기업(5.3%→4.8%) 모두 떨어졌다.

한편 기업들의 전분기 대비 부채비율은 줄고 차입금 의존도는 전분기와 비슷했다. 2분기 부채비율은 90.8%로 전분기 보다 4.2%p 하락했고, 차입금 의존도는 26.0%로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부채비율은 제조업(72.9%→69.1%), 비제조업(132.9%→131.9%), 대기업(92.6%→86.8%)은 떨어졌지만 중소기업(106.6%→110.8%)은 상승했다.

한은 관계자는 “12월 결산법인은 미지급 배당금을 부채로 잡아놓기 때문에 2분기 배당금이 지급되면서 부채비율이 소폭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문화경제 한원석 기자>

관련태그
2분기 기업경영  매출 감소  성장성 악화  수익성 둔화  한국은행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