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엔지니어링이 울산에서 수행 중인 ‘샤힌 프로젝트 패키지-2’ 현장에서 폴리에틸렌(PE) 공정의 핵심 설비이자 최대 중량물인 리액터(반응기) 3기의 설치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설치된 리액터는 총 3개의 유닛(LLDPE 2기·HDPE 1기)에 각 1기씩 배치되며, 연간 132만t(톤)의 폴리에틸렌을 생산하는 샤힌 프로젝트 패키지-2의 핵심 설비다. LLDPE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유연성과 인열 강도가 뛰어나 포장재, 랩 필름 등에 사용한다. HDPE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강도와 내화학성이 높아 파이프, 용기, 건축 자재 등에 활용한다.
리액터는 정제된 에틸렌과 촉매를 투입해 중합 반응으로 폴리에틸렌 레진(분말 형태)을 생산하는 폴리머(Polymer) 공정의 주요 설비로, 생산 효율과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다. 특히 압력, 온도, 촉매 조건 등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복잡한 반응기술이 집약된 장비다.
높이 46m, 지름 5.5m, 무게 505t에 달하는 리액터의 설치를 위해 1800t급 크롤러 크레인과 600t급 테일 크레인이 동원됐다. 설치는 리액터를 약 80m 높이까지 인양한 후, 현장에 설치된 철골 구조물(Steel Structure) 기초부에 안착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는 샤힌 프로젝트 패키지-2의 본격적인 중량물 설치 일정의 시작을 알리는 상징적 공정이다.
현장에선 이번 설치를 위해 프로젝트 초기부터 철저한 사전 준비를 진행했다. 리액터 운송 경로 조사, 반입 계획 수립, 부지 치환공사 등 전 과정이 체계적으로 수행됐고, 계획에 맞춰 무사히 설치를 완료했다. 부지 치환공사는 중량 설비나 구조물 설치 전 지반의 지지력이나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시행하는 토목 공사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이번 리액터 설치를 기점으로 샤힌 프로젝트의 공정이 속도감 있게 전개될 것”이라며 “안전과 품질을 최우선으로 삼아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샤힌 프로젝트는 S-OIL이 국내 석유화학 사상 최대 규모인 약 9조3000억원을 투자해 추진하는 고부가가치 석유화학제품 생산시설 구축 사업이다. 완공 후 연간 에틸렌 180만t, 프로필렌 77만t, LLDPE 88만t, HDPE 44만t의 생산 능력을 갖출 예정이다.
〈문화경제 김응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