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그룹(회장 우오현)의 제조부문 계열사 SM벡셀(대표이사 최세환) 배터리사업부문이 리튬이온 배터리에 이어 납축전지를 활용한 장주기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ESS) 기술을 확보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기술 확보로 SM벡셀은 리튬이온과 납축전지 기반 두 가지 솔루션을 모두 보유하게 되면서 국내외 ESS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우오현 회장이 강조해온 품질과 기술 혁신 중심의 제조 역량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납축전지는 내연기관 차량용 배터리로 주로 사용되는 2차전지로, 안전성과 경제성이 뛰어나고 재활용이 용이하다. 화재 시 ‘열 폭주(thermal runaway)’ 위험이 낮고 진화가 쉽다는 점에서 최근 재조명되고 있다. 반면 리튬이온 배터리는 고에너지 밀도와 소형화에 강점을 가지지만, 화재 확산 위험성과 원자재 가격 상승이 한계로 지적돼 왔다.
SM벡셀이 확보한 신기술은 납축전지 전극에 활성탄을 도포해 황산납 결정(술폰화납) 생성을 최소화함으로써 수명을 크게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 이를 적용할 경우 기존 약 7년 수준이던 ESS 배터리 수명이 10년 안팎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고가의 수입 활성탄 대신 전남대학교 김융암 교수팀이 개발한 바이오매스 기반 활성탄을 적용해 원가 경쟁력도 확보했다. 해당 소재는 고결정성 활성탄소를 활용한 표면개질 기술을 통해 성능과 경제성을 동시에 높였다.
SM벡셀은 이미 방산용 리튬전지를 생산·납품하며 안정적인 양산라인을 구축한 상태다. 이번 ESS 기술 확보를 계기로 ‘배터리 커패시터(Battery Capacitor, 탄소 첨가 전극 납축전지)’ 등 신개념 ESS 솔루션을 앞세워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오정석 기술연구소장은 “4년에 걸쳐 개발한 납축전지 커패시터 기술과 기존 리튬이온 기술을 양 축으로 삼아 ESS 시장 진출을 확대하겠다”며 “특히 UPS(무정전전원장치)와 ESS의 화재 위험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안전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기술로 경쟁 우위를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세환 대표이사도 “납축전지와 리튬이온 기반의 ESS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시장 입지를 넓히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에 기여하는 다양한 솔루션을 지속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 문화경제 김한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