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예은⁄ 2025.02.05 17:32:03
전력변환 원스톱 솔루션 제공 기업 모티브링크가 이달 20일 코스닥 시장 상장을 추진한다.
1977년 설립된 모티브링크는 전동화 전력변환 시스템 구축을 위한 원스톱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전력변환기의 핵심 부품인 트랜스포머, 필터, 인덕터, 리액터 등을 개발·양산하며 전력변환 시스템의 설계부터 검증, 양산까지 수행하는 국내 유일 기업이다.
전동화 전력변환시스템은 전기모터 구동, 전장부하 전원 공급, 고전압 배터리 충전 등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제품으로 크게 차량 외부에서 들어오는 교류전력(AC)을 직류전력(DC)으로 변환하는 ‘OBC’,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하는 ‘LDC’,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해 전장장비의 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 세가지가 있다.
모티브링크는 이 세가지의 필수 부품인 트랜스포머, 필터, 인덕터, 리액터 등을 개발 및 양산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80%가량의 매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고객사 현대모비스와의 협력으로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핵심 전력변환 부품을 공급하며, 친환경차 전장 부품 시장에서 레퍼런스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해당 부품은 현대자동차그룹의 아반떼, 소나타, K5 등의 하이브리드 차종과 아이오닉5, GV60, EV6 등의 전동차 라인업을 비롯해 엑시언트, 일렉시티 등 상용차종에 적용되고 있다.
모티브링크는 2015년 매출액 69억 원에서 2023년 829억 원으로 연평균 성장률 36.5%를 기록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기록했다. 친환경차 시장 확대 시 전력변환기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가운데, 회사는 현대차그룹 및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 협력을 강화하며 추가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회사는 주요 경쟁력으로 ▲트랜스포머 및 전력변환기 설계 역량 ▲자체 개발 검증 모듈 ▲국내 유일 인몰드 자동화 설비 라인 등을 갖춰, 빠른 납기와 효율적인 제품 양산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또한 전동화 부품의 개발 및 양산 과정에서 요구되는 장기간의 테스트 및 인증 절차는 고객사가 부품 변경이 쉽지 않은 락인 효과와 경쟁사의 진입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도, 모티브링크는 기존 부품 공급 방식에서 벗어나 전력변환기 완제품 OEM 사업으로 전환을 추진 중이다. 회사는 친환경차 시장 수요의 증대로 인하여 전장제품에 전자파(EMI)를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전자파 필터 사업 및 전력변환기(ICCU: Intergrated Charging Control Unit)의 시스템 개발의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현대모비스와 전력변환기 완제품 OEM을 진행하며, EMI 필터와 커넥터를 단일부품화해 원가 절감 및 노이즈 억제 효율 증가를 도모하고 있다.
현재 높은 고객사 의존도를 다변화하기 위해 모티브링크는 전력변환 기술을 활용해 자동차 부품 외에도 우주항공, 전기차 충전기 시장으로 사업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BLDC 모터, 스마트 글라스, 전자 도어래치 등 신제품 개발을 통해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며, 충전기 산업 및 우주항공 산업 진출을 위한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다.
이를 위해 베트남 공장 증설을 통한 글로벌 공급망 강화, 전력변환 기술을 활용한 우주항공 및 충전기 시장 진출 등 차세대 성장 동력을 확보하며, 전동화 전력변환 시장의 혁신 기업으로 자리매김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공모를 통해 확보한 자금은 ▲베트남 법인 신축 및 자동화 설비 투자 ▲본사 신규 모듈사업 설비 투자 ▲연구소 신뢰성 시험 설비 투자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베트남 공장 증설을 통해 현지 직납 체계를 구축하고 동남아 시장 공략을 강화하는 동시에, 전력변환 부품 중심에서 완제품 OEM 사업으로 확대해 부품 공급사에서 모듈화 전문기업으로 도약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전력변환기 공간 확보 및 원가를 절감하며, 제품경쟁력과 수익성을 향상시킨다는 구상이다.
모티브링크 김기한 대표이사는 “모티브링크는 전력변환 기술력을 바탕으로 친환경 자동차 및 전력 변환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이번 코스닥 상장을 통해 글로벌 미래 전동화 전력변환 혁신 리딩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모티브링크는 이번 상장에서 총 302만590주를 공모하며, 공모 희망가는 5,100원~6,000원, 공모 예정 금액은 154억 원~181억 원이다.
기관 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은 1월 31일부터 2월 6일까지, 일반 청약은 2월 11일~12일 진행된다. 상장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