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이미지
[겸재 그림 길 (46) 양천 궁산 탑산 ①] 올림픽대로가 없애버린 그때 그…
(CNB저널 = 이한성 옛길 답사가) 겸재의 그림을 따라 찾아온 행주산성을 떠나 옛 양천현아(陽川縣衙)가 자리잡았던 강서구 가양동 궁산으로 향한다. 9호선 양천향교역 1번 출구를 나서면 마을 안쪽으로 이어지는 길이 있다. 직선도로가 끝날 즈음 양천현아지(陽川縣衙址, 사진 1)를 알리는 표지석을…
대표이미지
[겸재 그림 길 (45) 행주산성 ③] 산 권력에 저항한 추강이 낚싯대 드리…
(CNB저널 = 이한성 옛길 답사가) 조선 시대 최고의 별장촌(別莊村) 행주 지역 서쪽을 겸재 그림과 함께 살펴보며 지나왔다. 이제는 동쪽 덕양산(德陽山, 幸州山城)을 돌아보고자 한다. 출발은 귀래정(歸來亭)이 있었을 곳에서 남쪽 강변(곧 杏湖)부터다. 이곳에는 행주산성역사공원이 잘 꾸며져 있다…
대표이미지
[겸재 그림 길 (44) 행주산성 ②] 겸재는 웅어 보내고, 척재는 답시 쓰…
(CNB저널 = 이한성 옛길 답사가) 기왕에 행호관어도를 보면서 행주산성 앞 웅어(葦魚) 이야기를 꺼냈으니 웅어 이야기를 조금 더 하고 가려 한다. 동국세시기에서 언급했듯이 웅어 잡이가가장 활발했던 곳은행주산성(幸州山城) 앞 강물이었다. 유역이 넓고,유속이 느려 행호(幸湖)라 불렀던 곳이다.…
대표이미지
[겸재 그림 길 (43) 행주산성 ①] 행주산성의 ‘행(幸)’과 웅어 유래…
(CNB저널 = 이한성 옛길 답사가) 겸재의 양천팔경첩에는 행주산성 주변을 그린 두 점의 그림이 있다. 두 그림은 행주나루 앞 언덕에 있던 정자를 그린 그림으로, 낙건정(樂健亭)과 귀래정(歸來亭)이다. 그런데 이 두 그림은 물론 이곳 행주 지역을 더 넓게 그린 그림이 있다. 많은 이들의 관심과 사랑을…
대표이미지
[문규상 법과 유학] 사건배당 이면에 비친 전관예우 - 전화변론, 구두…
(CNB저널 = 문규상 법무법인 대륙아주 변호사) 조국 전 법무장관의 부인 정경심 교수가 약 2개월 간에 걸친 검찰의 사냥몰이 식의 집요한 수사 끝에 구속되었습니다. 그 과정에 심각한 국론 분열이 초래되었고 그로 인해 국민들은 마음속에 큰 상처를 입었습니다. 하루빨리 모든 것이 제자리를 찾아갔…
대표이미지
[겸재 그림 길 (42) 선유봉] 선유봉이 선유도 된 사연
(CNB저널 = 이한성 옛길 답사가) 지하철 2호선과 9호선이 만나는 한강 서쪽의 역 이름이 당산(堂山)이다. 9호선은 여기에서 김포공항 쪽으로 달리는데 다음 역은 이름도 아름다운 선유도(仙遊島)역이다. 그냥 지나치기에는 무언가 관심을 끄는 이름들이다. 오늘은 지하철 2호선, 9호선 당산역에서 내…
대표이미지
[고윤기 변호사의 재미있는 법률이야기] 인터넷 ID에 욕을 해도 처벌될…
(CNB저널 = 고윤기 로펌고우 변호사) 바야흐로 스마트폰 시대이다. 영국의 경제지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는 지혜가 있는 인간이라는 의미의 호모 사피엔스에 빗대 포노 사피엔스(Phono Sapiens)라는 신조어를 만들어 내었다. 이른바 스마트폰을 신체의 일부처럼 사용하는…
대표이미지
[겸재 정선 그림 길 (41) 양화진] 절두산 옛 이름은 ‘들머리’의 이두…
(CNB저널 = 이한성 옛길 답사가) 겸재의 그림을 담은 책들을 보면 양화진(楊花津: 양화나루)을 담은 두 점의 그림을 만난다. 하나는 양화진이며, 하나는 양화환도(楊花喚渡)라는 그림이다. 양화진은 양천팔경첩에 있고 양화환도는 경교명승첩에 포함돼 있다 한다. 이 두 그림은 겸재가 양천현령 시절…
대표이미지
[겸재 그림 길 (40) 개화산] 행복했던 겸재가 그린 편안한 개화사
(CNB저널 = 이한성 옛길 답사가) 겸재는 65세 되던 해 1740년(영조 16년) 종5품(從五品)인 양천현령(陽川縣令) 직(職)을 제수 받아 12월 부임하였다. 사실 겸재는 나이 40이 되도록 어찌된 일인지 생원(生員)이나 진사(進士)도 되지 못한 유학(幼學)의 상태였는데, 김조순의 제겸재화첩(題謙齋畵帖…
대표이미지
[겸재 그림 길 (39) 안산 백련산 ⑤] 부하들이 ‘수도 땅’ 헤맬 때 리…
(CNB저널 = 이한성 옛길 답사가) 겸재 그림 안현석봉(鞍峴夕峰)처럼 안현(안산)에 언제나 평안의 횃불 하나 피어 오르면 좋으련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었다. 전호(前號)에 소개했듯이 청장관 이덕무의 글처럼 안현에서는 치열한 전투도 있었다. 인조 2년(1624년) 일어난 이괄의 난 때 이곳 안현에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