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해외투자펀드, 연초 참패행진

차이나쇼크 이후 일본·인도·베트남 증시 하락으로 평균 수익률 0.18%
동유럽·중남미 등 비 아시아권 이머징 시장 주목, “포트폴리오로 분산투자가 관건”

  •  

cnbnews 제12호 ⁄ 2007.07.03 10:47:29

[전문] 참여정부의 부동산 투기 옥죄기 정책에 힘입어 주목받기 시작한 해외투자펀드. 작년 6월 경 청와대 내 한 보좌관의 부동산 정책 실패에 관한 고해성사 이후 부동산 문제는 노무현 대통령과 기존 부동산 부자들 간 싸움에서 사회 전체의 문제로 확산된 이후 부동산에 투입된 자금들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에 정부는 당시 환율 역마진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고자 부동산 부동자금을 비롯한 시중의 뭉칫돈들을 해외투자펀드로 유도하기 위해 면세조치 등 각종 유인책을 사용해 왔다. 8·31 부동산 대책 후속입법의 발표 직후부터 부동산 투기자금의 새로운 안식처로 떠 오른지 1년 4개월이 지난 지금 해외투자펀드의 실적을 통해 그 허와 실을 짚어봤다. [본문] 이같은 붐을 타고 해외투자펀드는 불과 18개월여 만에 급성장을 거듭해 왔다. 이같은 정부와 사회의 관심에 힘입어 현재 해외투자펀드는 국제주식 일반형 180개와 국제주식 FOF형 113개 등 총 293개 펀드가 설정돼 있을 정도. 그러나 몇 몇 펀드를 제외한 대부분 해외투자펀드의 수익률이 저금리 시대 시중은행의 금리 수준을 밑돌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운용 6개월 째 수익률만이 은행금리를 넘어섰을 뿐이다. ■은행금리보다 못한 해외투자펀드 펀드평가회사 제로인을 통해 알아본 해외투자펀드를 분석해 본 결과 2006년 1월 2일부터 2007년 4월 2일까지의 펀드 수익률은 국제주식 일반형에 속하는 180개 펀드의 경우 첫달 운용에 1.74%, 석달 운용에 0.18%의 수익률을 거뒀다. 또 국제주식 FOF형에 속하는 113개 펀드의 경우 첫달에 -0.37%, 셋째달에 0.86%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는 국내 은행들의 최소금리에도 훨씬 못 미치는 실적으로 사실상 손해를 뜻한다.

반면 운용 6개월째부터는 일반형과 FOF형이 각각 20.42%, 11.09%에 달하는 등 은행금리의 최소 3배 이상에 달하는 고수익을 올렸다. ■우량 해외투자펀드 운용회사 이번 통계에 따르면 해외투자펀드에서 현재까지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한 곳은 미래에셋자산운용. 중국을 중심으로 14개 우량 해외투자펀드를 가지고 있는 박헌주 사단은 중국의 발전상에 힘입어 높은 수익을 올리고 있다. 그 뒤를 이어 독일계의 슈로더자산운용이 7개 펀드, 미래에셋과 더불어 대표적 토종 펀드사인 대한투자자산운용이 6개 펀드를 확보하고 있다. 반면 국민금융그룹 계열의 KB자산운용과 삼성그룹의 삼성운용이 각각 1개 씩의 우량 펀드를 가지고 있을 뿐이다. ■ 정해년 해외투자펀드 고전 면치 못해 그러나 황금돼지의 해인 2007년 초 1/4분기 해외투자펀드는 참패를 면치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 우량 수익률을 기록한 상위 50개 펀드 중 무려 10개 펀드가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 중 지난 16개월 간 무려 20%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중인 미래에셋은 올해 -6%대를 기록하며 참패를 면치 못하고 있다. 올해 해외투자펀드의 올해 실적 중 가장 높은 수익률은 5.99%로 우리은행의 특판 정기예금 금리 5.1%보다 약간 높은 수치다. 이는 해외투자펀드가 그 특성상 원금 손실의 위험이 아주 크다는 점과 살인적인 물가상승률을 감안할 경우 이는 결국 손실과도 같은 것. 그러나 올해 1/4분기 -6.32% 라는 최악의 수익률을 기록한 인디아디스커버리법인주식 1ClassA 펀드는 지난 16개월간 22.55%의 수익률을 기록한 우량 펀드였다. 또 1/4분기에 -4.54%의 수익률을 기록한 신한BNPP자산운용에서 다루고 있는 봉쥬르차이나주식1의 경우 16개월간 67.53%라는 경이적인 수익률을 기록했었다. 이같은 해외투자펀드의 수익률 참패행진에 대해 증권업계의 한 관계자는 환율 리스크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증권업계의 한 펀드매니저는 “올해 초 엔저에 원·달러 가치 하락 등으로 상당히 불안했던 상태”라며 해외투자펀드의 실적부진에 대한 이유를 설명했다. ■ 일본·인도·베트남 등 아시아 투자서 손실 확대 특히 일본의 경우 지난달 일본 재무성의 소폭 엔화절상 이후 1조원이라는 자금이 몰렸었다. 그러나 최근 주식시장이 조정을 받는 등 충격의 여파로 지난달 마지막 주 5%의 손실을 기록하는 등 올 들어 지금까지 평균 2%의 손실을 기록 중이다. 현재 일본 투자펀드에 모인 돈은 총 2조 6,000억 원 가량이다. 그런데 이 기간 중 중국·인도·남미 등 타 지역의 해외투자펀드는 20~30% 수준의 수익률을 기록중인 것에 비교하면 이는 엄청난 손해. 이와관련 증권시장에서는 일부 펀드 투자자들 사이에서 “엔화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최악의 경우 환치기나 환헤지 전략을 통해 손실을 보전할 수 있을 것”이라는 말이 회자되고 있다. 그러나 펀드매니저들은 “일반적으로 환율이 강세를 보이면 주가가 하락한다”며 “환차익을 거둔다 해도 펀드 수익률이 하락하면 기대한 수익률을 내기 힘들다”고 조언한다. 또 중국과 함께 대표적인 이머징 마켓으로 분류되는 인도와 베트남에서도 자국 주식시장의 조정국면 여파로 인해 수익률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자산운용업협회에 따르면 올해 1/4분기 인도 투자 펀드의 수익률은 -4.95%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 해외투자펀드도 포트폴리오 구성이 관건 이에따라 동유럽과 중남미 등 헝가리·체코·브라질 등 유럽과 중남미의 이머징 국가들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와관련 증권업협회의 한 관계자는 “해외투자펀드는 주로 주식 투자가 많다”며 “이에 따라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주식시장의 격언을 되새김질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현군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