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창훈⁄ 2022.02.07 11:01:48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믹식에서 불거진 한복 논란과 관련해 외교부는 “중국 측에 고유한 문화에 대한 존중과 문화적 다양성에 기초한 이해 증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하는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6일 밝혔다.
국민일보는 7일 외교부가 한·중 양측이 상호이해와 우호 정서 증진을 위해 함께할 것을 약속했다는 이유로 중국 정부에 공식 항의하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지난 4일 중국 베이징 국가체육장에서 열린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는 중국의 소수 민족 복식을 입은 공연자들과 함께 한복을 입은 공연자가 등장하며 논란이 일었다. 이를 두고 국내 네티즌들은 중국이 우리나라 전통 복식인 ‘한복’의 기원을 중국임을 우회적으로 주장하는 것이라며 앞다퉈 비판했다.
여기에 문체부 황희 장관의 발언도 논란에 불을 붙였다. 황 장관은 5일 중국 베이징 시내 메인 미디어센터를 방문, 기자들과 한국 취재진에게 “우리 문화가 이렇게 많이 퍼져나가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세계사적으로 물리력 없이 소프트파워 하나로 문화를 평정하고 있는 유일한 경우가 아닌가?”라며 “중국 내에도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이 어마어마하다고 한다. 우리 문화가 확산하는 과정으로 보고 당당함을 가질 필요가 있다. 다만 바로잡을 부분은 잡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일각에서는 중국의 문화 침탈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일고 있다. 중국이 그간 한복의 기원을 ‘‘한푸(漢服)’라고 하거나, 김치의 원조가 ‘파오차이(泡菜)’라고 주장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신범철 백석대 초빙교수는 7일 국민일보와 인터뷰에서 “ “소수민족을 소개하는 과정이었지만 그 소수민족이 다른 나라와 연결될 때에는 중국도 양해를 구했어야 한다”며 “우리 정부도 중국에 ‘이웃 국가와 조화를 고려하라’는 식의 유감이나 우려를 표하는 성명 정도는 내는 것이 좋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계속되는 문화침탈과 왜곡을 일삼는 중국을 향해 네티즌들은 “가만히 지켜봤다간 다음 정권때 그냥 중국에 편입될 듯”, “아오 이건 진짜 화나네”, “일본이 김치가 일본 꺼라고 홍보했으면 당장 일본대사 불러서 엄중 항의했을 거다”, “양해 구했으면 허락했을 거란 말이네?”등 분노 섞인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