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창훈⁄ 2022.03.07 10:25:53
더팩트는 7일 ‘청년희망적금’에 약 290만 명이 몰리며 국내 시중은행들이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청년희망적금’의 수요는 정부의 예상치에 8배를 초과했다. 이에 따라 추가 비용 등 수습을 은행들이 떠안게 됐다. 이로 인해 정부가 청년희망적금에 대한 수요 예측을 못해, 은행들이 뒷수습을 해야한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청년희망적금은 출시 전부터 눈길을 끌었다. 연 1%대의 적금 상품들이 줄을 잇고 있는 가운데, 기본 5% 금리의 상품이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비과세 혜택과 저축장려금, 은행별 우대금리를 합하면 최대 10%에 달하는 금리를 받을 수 있기에 출시 전부터 관심을 모았다.
월 50만 원 한도에 2년까지 가입할 수 있으므로 우대금리를 제외해도 총 98만 5000원의 이자를 받는다. 특히 연 수입이 3600만 원 이하(종합소득금액은 2600만 원 이하)인 만 19~34세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다는 점)도 인기를 끌었다.
청년희망적금의 가입자가 예상보다 큰 폭으로 늘면서 은행은 예상치보다 높은 금리 부담을 지게 됐다. 이에 따라 금융권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관련해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작년에는(투자의 관심이) 부동산, 주식 시장 등에 쏠려 있는 상황이었다. 최근 금융시장 여건이 변하면서 이런 쪽(은행 예·적금)으로 관심이 다시 돌아오는 측면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더팩트에 “현재 은행권 대출금리가 평균 약 4% 정도인데, 적금에 6.0%의 금리를 주고 조달하면 당연히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라며 “은행들이 가입자 급증의 부담을 울며 겨자 먹기로 떠안고, 생색은 정부가 내는 셈”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문화경제 양창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