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중국 환구시보 “중국인에게 한낱 반찬인 파오차이, 한국인 눈에는 세계적 발명품?”, 서경덕 교수“ 중국 공산당 기관지의 한계”

18일 서경덕 교수 SNS에 중국 언론의 ‘만행’ 고발, 네티즌 “김치를 한낱 반찬 정도로 치부하는 게 중국인들의 문화 역량”

  •  

cnbnews 안용호⁄ 2022.04.18 11:24:16

사진=서경덕 교수 인스타그램 캡처

중국 언론의 김치 비하 발언이 지속되고 있어 한국 네티즌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서경덕 교수는 18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중국 언론의 김치 비하 보도에 대해 소개했다. 서 교수는 “지난 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유튜브 영상에서 김치를 ‘파오차이(泡菜)’로 표기해 큰 논란이 됐다”라면서 이에 대해 ‘지난 해 한국의 문화체육관광부가 개정안을 통과시키면서 김치의 정식 명칭을 신치(辛奇)로 규정, 중국의 파오차이와 구분을 시도했다’는 중국 공산당 기관지 관찰자망의 보도를 전했다.

이어 서 교수는 “이렇게 구분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중국에서 김치는 파오차이에서 기원했다', 라는 억지 주장을 펼치기 때문인데, 이러한 팩트는 늘 기사에 반영하지 않는다”라며 이 중국 언론이 한국 정부가 신치와 파오차이를 구분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한 서 교수는 이 매체가 “‘한국은 파오차이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데 주력해 왔다’면서 ‘오직 파오차이 하나에 집중한 국가적인 규모의 축제를 기획할 정도로 집중하는 분위기’라고 조롱했다”라며 울분을 토했다.

사진=서경덕 교수 인스타그램 캡처

최근 환구시보의 보도에 대해서도 서 교수는 “ ‘중국인의 눈에는 김치가 한낱 반찬일지 모르지만, 한국인의 눈에는 세계에서 중요한 발명품인 셈’이라고 (환구시보가) 비하했다”라고 폭로하며 “중국 내에서 중국인들의 여론만 호도하면 된다, 그러면 다른 나라 문화도 뺏을 수 있다고 믿는, 그야말로 세계인의 시각을 무시한 (중국 언론이) 국내용 찌라시로 전락된 것을 그들만 모르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이에 네티즌들은 “자기 것도 아닌 것에 참 욕심이 많군요”,“내 김치파워 내놔”, “코로나가 너희 거야! 그런 건 또 극구 부인하지”, “국가에서 할 일을 교수님이 하시는 군요”,“기본적인 김치 종류도 모르고, 기본적인 양념도 모르고, 특히 발효라는 개념이 왜 들어가는지도 모르면서 어쩜 저리 우기는지 너무 불쌍합니다” 등 중국 언론을 비판하는 목소리를 쏟아냈다.

관련태그
파오차이  식약처 파오차이  김치 파오차이  서경덕  서경덕 김치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