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4월 생산자물가지수 가장 많이 상승한 축산물은? ㅇㅇㅇㅇ 28%↑

한국은행 발표, 4월 생산자물가지수 전월 대비 1.1% 상승, 전년 동월 대비 9.2% 상승... 축산물 7.4%, 수산물 2.6% 올라

  •  

cnbnews 안용호⁄ 2022.05.20 10:31:42

지난 4월, 서울 한 대형마트의 축산물 매대. 4월 생산자물가지수 발표에서 축산물은 7.4% 올랐다. 사진=연합뉴스

19일 한국은행이 4월 생산자물가지수를 발표했다. 4월 생산자물가지수는 3월(116.70)보다 1.1% 높은 118.02(2015년 수준 100)로 집계돼,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생산자물가가 4개월 연속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생산자물가지수는 올해 이후 4개월째 오름세지만, 상승 폭은 3월(1.5%)보다 줄었다. 하지만 1년 전인 작년 4월과 비교하면 상승률이 9.2%에 이른다.

전월 대비 품목별 등락율을 보면, 축산물과 수산물 물가가 7.4%, 2.6% 올랐다. 공산품도 1.2% 높아졌다. 특히 공산품 가운데 석탄·석유제품(2.9%), 제1차금속제품(2.6%) 등의 오름폭이 평균을 웃돌았다.

서비스업 물가는 0.4% 올랐다. 원자재 가격 부담과 거리두기 폐지 등에 따른 수요 증가의 영향으로 음식점·숙박(0.6%)과 운송(1.2%) 관련 물가가 상승을 주도했다.

 

생산자물가지수 품목 중 돼지고기가 28.2%나 올라 눈길을 끌고 있다. 표=한국은행

 

세부 품목 중에서는 돼지고기(28.2%), 멸치(22.0%), 식용정제유(11.8%), 경유(7.2%), 국제항공여객(10.3%), 영화관(3.1%) 등의 가격이 눈에 띄게 올랐다. 반면 딸기(-20.4%), TV용LCD(-4.2%) 등은 오히려 떨어졌다.

생산자물가지수는 국내의 생산자가 국내의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종합한 지수이다(참조:기획재정부 경제e야기).

비슷한 단어로 소비자물가지수가 있는데, 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의 구매력을 살펴보는 지수라면 생산자물가지수는 기업의 비용 증가, 즉 생산원가와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한국은행에서 매월 작성해 발표하고 있다.

음식료품 중에는 혼합소스가 9.4%, 식용정제유는 11.8% 상승했다. 지난 4월 서울 한 대형마트의 매대. 사진=연합뉴스

생산자물가지수가 중요한 이유는 소비자물가지수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생산자물가가 상승한다면, 소비자물가도 상승하는 수순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영향이 나타나는 데에는 보통 1개월 정도가 걸린다. 따라서 수일 또는 수개월 내 소비자물가도 오른다고 보면 된다.

관련태그
물가상승률  삼겹살  물가자료  생산자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  한국은행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