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태⁄ 2022.06.15 10:54:42
미국 연준(중앙은행)이 오늘밤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6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75%p 올리는 이른바 ‘자이언트 스텝’을 전격 단행할 것으로 보는 시각이 미국 금융계를 지배하고 있다.
미국 금융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에서 ‘연준이 0.75%p를 올릴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대해 “그렇다”는 응답률은 13일만 해도 불과 20% 수준에 그쳤으나 14일에는 이 수치가 거의 90~100% 수준으로 수직상승했다. 이는 미국 금융계는 0.75%p 인상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라는 얘기다.
연준이 금리를 0.75%p 대폭 인상하는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하는 것은 1994년 이후 28년만의 일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내일(16일) 오전 3시 금리인상과 관련된 연설을 할 예정이다.
유튜브 채널 ‘이효석 아카데미’를 운영하는 이효석 업라이즈 이사는 15일 아침 방송에서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잡을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진 뒤에라야 자이언트 스텝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그간 예상돼 왔다”며 “0.75%p 금리인상 뒤 바이든 미 대통령의 7월 사우디아라비아 방문 등으로 석유 값이 안정되고 인플레이션이 잡히는 등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같은 해석은, 만약 0.75%p 인상이라는 파격적인 조치를 단행했는데도 불구하고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전혀 잡히지 않는다면, 미국 경제뿐 아니라 세계 경제가 정말로 총체적인 파국 상태로 빠질 수밖에 없다는 현실에 근거한다. 큰 칼을 뺐는데도 아무 성과가 없다면 다음 수순이 사실상 없어지고 미국과 세계 경제는 경착륙을 향해 달려나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오늘 밤의 금리인상 발표를 앞두고 이미 미국에서는 △주가의 급락 △주택 지수의 하락 △소비자 심리 지수의 하락 △기업의 대규모 해고 시작 등 경기 둔화를 예고하는 조치와 지표들이 속속 발표되고 있다. 이 같은 경기 둔화는 소비를 감소시켜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예상되는 연준의 전격적인 자이언트 스텝 금리 인상과 경기 둔화의 흐름이 합쳐져 앞으로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얼마나 낮출 수 있을지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