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허준이 ‘필즈상’ 수상에 이재용 부회장 안목 재조명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제안으로 지난해 삼성호암상 ‘물리·수학’ 부문 신설…첫 수상자가 바로 허준이 교수

  •  

cnbnews 김금영⁄ 2022.07.07 18:51:28

한국계 수학자인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수학과 교수(39)가 ‘수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상을 수상하자 과거 ‘삼성호암상’을 받았던 이력이 재조명되고 있다. 사진은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수학과 교수(왼쪽),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사진 = 연합뉴스)

한국계 수학자인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수학과 교수(39)가 ‘수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상을 수상하자 과거 ‘삼성호암상’을 받았던 이력이 재조명되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제안으로 지난해 삼성호암상에서 ‘물리·수학’ 부문이 신설된 뒤 첫 수상자였기 때문이다. 이에 기초과학 인재 육성에 대한 이 부회장의 안목도 관심을 받고 있다.

삼성호암상은 고(故) 이건희 회장이 부친인 이병철 창업자의 인재제일과 사회공익 정신을 기리기 위해 1990년 제정한 상으로, 시행 첫해부터 올해까지 총 164명의 수상자를 냈다. 지급된 총상금은 307억원에 달한다.

삼성호암상은 본래 과학·공학·의학·예술·사회공헌 등 5개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이룬 국내·외 한국계 인사들을 선정, 순금 50돈의 금메달과 상금 3억원을 수여해 왔다. 그러다 지난해 과학 부문을 ‘물리·수학’과 ‘화학·생명과학’으로 나눠 시상 분야를 6개로 늘렸다.

여기엔 이 부회장의 의지가 반영됐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공학이나 의학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평가를 받는 기초과학 분야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산업 생태계의 기초를 단단히 하고, 국가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자는 취지로 확대 시상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회장은 지난 5월 6년 만에 시상식을 찾는 등 삼성호암상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처럼 이 부회장의 각별한 관심 속 삼성호암상이 과학 부문 시상을 확대한 뒤 최초의 물리·수학 수상자가 된 인물이 허 교수다. 허 교수는 현대 수학계의 오랜 난제였던 ‘리드 추측’과 ‘로타 추측’을 비롯해 11개의 난제를 풀어낸 성과로 당시 삼성호암상을 수상했다.

삼성호암상 역대 수상자 중에는 허 교수뿐 아니라 노벨상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 학자들도 다수 포함돼 있다.

 

유전체학 연구분야의 흐름을 주도한 찰스 리 미국 잭슨랩 교수, 나노구조 물질 관련 새 연구 분야를 개척한 유룡 카이스트 특훈교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세계 최초로 개발한 박남규 성균관대 교수 등이다.

영화 ‘기생충’으로 칸 영화제를 휩쓴 봉준호 감독이 허 교수와 같은 해 예술상 부문을 받은 바 있다.

한편 허 교수는 지난 5일(현지시간) 필즈상을 수상했다. 국제수학연맹(IMU)은 이날 핀란드 헬싱키 알토대학교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허 교수를 필즈상 수상자로 발표했다.

필즈상은 1936년부터 4년마다 수학 분야에서 탁월한 공적을 이룬 40세 이하 수학자에게 수여된다. 아시아계 수상자는 허 교수가 8번째다.

< 문화경제 김금영 기자 >

관련태그
허준이  이재용  삼성전자  삼성호암상  필즈상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