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지하철 왜 이러나? 전장연 시위에 지하철 노조 총파업 예고까지…지하철 계속되는 혼잡에 엇갈리는 시선들

“시위 방법 적절치 않고 위험” vs “얼마나 절박하면 지하철을 시위 장소로”

  •  

cnbnews 김금영⁄ 2022.11.08 10:17:39

서울 영등포역 무궁화호 열차 탈선사고 여파로 지하철 1호선 일부 구간 운행이 지연되고 있는 7일 오후 1호선 서울역 승강장이 퇴근길 시민들로 북적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어제(7일)에 이어 오늘(8일)도 서울 지하철이 혼잡을 겪었다.

6일 오후 발생한 서울 영등포역 무궁화호 탈선사고 여파로, 7일 오전 KTX·새마을호 등 일반 열차가 용산역과 영등포역에 정차하지 않은 채 통과하면서 혼선이 빚어진 것. 7일 오전 9시 이전 출발 예정이던 열차까지 KTX 15편과 일반 열차 10편의 운행이 중단됐다. 또, KTX 6편과 일반 열차 4편 등 10편은 운행구간이 단축되거나 출발역이 변경됐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 따르면 7일 오후 5시 30분께부터 수도권 전철 급행과 일반 전동열차 운행은 정상화했다. KTX와 일반열차 운행도 재개됐지만, 사고 여파로 연쇄 지연이 불가피한 상태다. 이날 운행 중지·조정된 열차는 8일부터 정상 운행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일부 운행이 정상화됐지만, 지하철 혼잡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가 8일 강동구청역 앞에서 출근길 지하철 탑승 시위를 시작하면서 서울 지하철 5·8·9호선이 지연된 영향이다.

전장연은 장애인 권리 예산 반영과 장애인 권리 4대 법률 제개정을 요구하며 지난해 12월부터 ‘출근길 지하철 선전전’을 진행해 왔다. 8일 진행된 회견엔 휠체어를 탑승한 장애인 8명을 포함해 총 30여 명의 전장연 관계자가 참석했다.

7일 오전 무궁화호 열차 탈선사고가 발생한 서울 영등포역 인근 탈선 사고 현장에서 코레일 복구반원들이 사고가 발생한 열차를 크레인으로 옮기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이날 회견에서 박경석 전장연 상임공동대표는 “국회에서 예산결산위원회가 열리고 있다. 어제도 위원들을 만나 장애인 권리예산을 보장할 것을 촉구했고, 집권여당과 논의한 것에 대해 최대한 반영하겠다는 약속을 받았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수십 번 약속했음에도 응답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태원 참사를 통해 국가가 왜 존재해야 하는가를 뼈저리게 느꼈다. 저희는 비장애인도 장애인도 안전한 사회에서 함께 살고 싶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한 시민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 일부 승객은 시위 방법이 적절치 않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쏟아냈다. 업무일정 차 이동하던 A씨는 “조금 일찍 나왔기에 망정이지, 안 그러면 중요한 업무에 늦을 뻔 했다. 정당한 권리를 주장하고 싶으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방식으로 진행해야 공감을 얻을 수 있지, 이런 식으로는 반감만 더해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지하철에서는 “장소가 틀렸다. 국회 가서 시위해라”, “왜 선량한 시민에게 이러냐”, “우리가 뭔 잘못이냐”, “진짜 화가 난다” 등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B씨는 “이 시위에 대해 잘 몰랐는데, 이런 식으로 접하게 되니, 차라리 잘 안 됐으면 좋겠다는 마음까지 든다”고 말했다.

사고가 우려된다는 반응도 있었다. C씨는 “몸이 불편한 장애인이 사람들이 북적북적한 지하철에 탑승해 시위를 하면 사고가 생길까봐 겁이 난다.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얼마나 지났다고, 경각심이 다들 사라진 것 같다”고 말했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는 장애인 권리 예산 반영과 장애인 권리 4대 법률 제개정을 요구하며 지난해 12월부터 ‘출근길 지하철 선전전’을 진행해 왔다. 사진은 지난달 서울 지하철 2호선 교대역 승강장에서 연 기자회견 모습. 사진=연합뉴스

반면 장애인 활동가들의 입장을 이해하는 반응들도 있었다. 관련 기사 댓글을 통해 일부 네티즌은 “이들도 처음부터 이런 방법을 택하고 싶진 않았을 것”,“얼마나 절박하면 지하철을 시위 장소로 택했겠냐”,“이렇지 않으면 아무도 이들의 목소리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을 것”,“문제는 장애인이 아니라 국회가 해결해야 한다”,“문제의 본질은 장애인이 처한 현실과 이들의 정당한 권리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 등의 의견을 냈다.

이 가운데 서울 지하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노조(민주노총)와 서울교통공사통합노조(한국노총)도 서울시와 정부가 예고된 구조 조정안을 철회하지 않으면 30일부터 총파업에 들어가겠다고 선언해 지하철 혼잡에 대한 또 다른 우려를 낳고 있다.

매일경제 보도에 따르면 이들은 신당역 역무원 스토킹 사건 이후 혼자서 근무를 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는 사회적 목소리가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서울시와 공사 측이 대규모 인력감축안을 추진하고 있다며 반발했다.

앞서 노조 측과 사측, 서울시는 지난 5월 안전 인력 확보를 위한 증원 및 충원에 합의했다. 그러나 사측은 지난달 4일, “공공기관 방침에 따라 2026년까지 정원의 10%인 1539명을 줄이겠다”며 1인 승무 도입 및 안전 업무 외주화로 인력감축 계획을 발표했다.

무궁화호 탈선 여파와 전장연의 지하철 승하철 집회에 총파업까지 현실화되면 지하철 탑승객의 불편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 문화경제 김금영 기자 >

관련태그
지하철  무궁화호  전장연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지하철총파업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