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유통업계 오너 배당 1위는 누구? 지난해 백화점·마트 호실적

1위 CJ 이재현 이어 롯데 신동빈이 바짝 추격…신세계 정유경 총괄사장 활약 눈길

  •  

cnbnews 김금영⁄ 2023.02.22 09:58:28

CJ 이재현 회장(왼쪽), 롯데 신동빈 회장. 사진=CJ, 롯데

백화점, 마트 등의 호실적으로 유통업계 오너들이 배당금을 두둑이 챙긴다.

아시아투데이는 CJ 이재현 회장이 총 배당금 409억 원으로, 롯데 신동빈 회장의 추격을 따돌리고 지난해에 이어 유통 배당왕 자리를 꿰찼다고 보도했다.

이재현 회장은 CJ로부터 배당금 약 307억 원, CJ제일제당으로부터 1억 8000여만 원을 수령한다. CJ제일제당이 실적 부진으로 전년 대비 50% 줄어든 보통주 1주당 2500원의 배당액만 책정했고, CJ ENM도 무배당을 진행했음에도 CJ의 배당금을 전년보다 200원 올린 2500원으로 책정해 배당왕 자리를 지켰다는 분석이다.

유통사업군에서 하이마트, 롯데홈쇼핑 등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유통계열사들에서 호실적을 거둔 롯데 신동빈 회장은 지난해 배당금 309억 원으로 간발의 차로 2위에 올랐다.

롯데 유통계열사들 중 특히 백화점, 마트가 선전했다. 코로나19 기간 부진을 면치 못했던 백화점, 마트는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을 맞이함에 따라 순풍을 탔다. 롯데백화점의 지난해 매출은 3조232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2%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4980억 원으로 43% 증가했다. 지난해 롯데마트는 영업이익 270억 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신동빈 회장은 롯데지주로부터 배당금 205억 원, 롯데쇼핑으로부터 95억 원, 롯데제과와 롯데칠성으로부터 각각 4억 원을 수령한다.

신세계 정용진 부회장(왼쪽), 정유경 총괄사장. 사진=신세계

1, 2위와 비교해 다소 격차가 크긴 하지만 신세계 정용진·정유경 남매가 뒤를 쫓고 있다. 신세계 정용진 부회장은 이마트에서 103억 원을 배당받는다. 지난해 이마트 매출은 전년 대비 17.7% 늘어난 29조 3335억 원으로, 역대 최대 연매출 기록을 이어갔다. 다만 영업이익은 스타벅스 캐리백 환불에 따른 일회성 비용 및 스타벅스, G마켓 인수가격 등의 영향을 받아 1717억 원 감소한 1451억 원을 기록했다.

특히 정유경 총괄사장의 활약이 눈길을 끈다. 신세계와 신세계인터내셔널의 지분 각각 18.6%, 15.1%를 보유하고 있는 정 총괄사장은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낸 두 회사에서 배당금 96억 원을 받는다. 이는 전년 대비 35.2% 오른 금액이다.

신세계는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으로 6454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도 영업이익 5137억 원과 비교하면 24.7% 늘었다. 여기엔 백화점의 흥행이 컸다. 백화점의 영업이익은 5018억 원으로 전년도보다 38% 늘었다. 신세계 연결 자회사인 신세계인터내셔날(패션) 또한 영업이익 1153억 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 사진=현대백화점그룹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은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를 통해 각각 52억 원, 26억 원씩 총 78억 원을 수령한다.

현대백화점은 지난해 연 매출 5조 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바 있다. 현대백화점의 지난해 매출액은 5조 141억 원, 영업이익은 3209억 원으로, 전년 대비 매출은 40.4%, 영업이익은 21.4% 늘었다.

< 문화경제 김금영 기자 >

관련태그
CJ 이재현  롯데 신동빈  신세계 정용진  정유경  현대백화점 정지선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