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몇 년 새 외식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잇따라 가격을 올리는 가운데, 지난 4월 햄버거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햄버거 물가는 지난해 4월보다 17.1% 올랐다. 2004년 7월(19.0%) 이후 18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아울러 올해 2월 7.1%, 3월 10.3%에 이어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리는 중이다.
같은 기간 피자의 물가 상승률은 12.2%로, 이 역시 2008년 11월(13.2%) 이후 14년 5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1월 8.8%, 2월 10.7%, 3월 12.0%였고, 4월에는 조금 더 올랐다.
치킨의 물가 상승률은 6.8%로 3월의 5.2%보다 1.6%포인트 높았다.
햄버거, 피자, 치킨 등 일반적으로 우리 국민이 가장 많이 사 먹는 외식 물가가 오른 것은 주요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그간 수차례 가격을 올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버거킹은 지난해 1월, 7월에 이어 올해 3월에도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 특히 3월에는 버거류 32종과 사이드메뉴와 음료 15종 등 47종의 가격을 올렸다. 맥도날드는 지난해 2월, 8월과 올해 2월 일부 메뉴 가격을 평균 5.4% 인상했다.
롯데리아 역시 2021년 12월 평균 4.1% 올린 데 이어 지난해 6월에도 5.5% 인상했고, 올해 2월 또다시 5.1% 올렸다. KFC도 지난해 1월, 7월과 올해 2월 인상했으며, 맘스터치는 지난해 2월, 8월 그리고 올해 3월까지 일부 메뉴 가격을 올렸다.
피자 역시 마찬가지. 도미노피자는 지난해 1월, 8월 두 차례 인상했고, 미스터피자는 지난해 3월 일부 피자 단품 가격을 올린 데 이어 올해 2월 피자와 사이드메뉴 가격을 인상했다.
치킨은 교촌치킨이 어젯자로 소비자 권장가격을 최대 3000원 올렸다. 인기 메뉴인 ‘허니콤보’의 경우 2만 원에서 2만3000원으로 올랐다. 이에 배달비까지 고려하면 치킨 한 마리를 시킬 때 3만 원 가까운 비용을 내야 한다.
외식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것은 식재료 가격과 인건비 등이 전반적으로 올랐기 때문이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달 21일 스타벅스, 롯데리아, 교촌에프앤비, bhc, 제너시스BBQ, 맘스터치 등 주요 외식 프랜차이즈 업체들과 간담회를 갖고, 당분간 가격 인상을 자제해달라고 당부했다.
<문화경제 김응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