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수출입물가, 석 달 연속 동반 오름세… ‘국제유가 상승’ 영향

두바이유 한 달 만에 4.1% 올라… “4월 물가 추가 상승 가능성”

  •  

cnbnews 한원석⁄ 2024.04.16 15:29:14

부산 신선대 컨테이너 부두 모습. 사진=연합뉴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격화 등 중동 사태 격화로 인한 국제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수출입물가가 석 달 연속 동반 상승세를 나타냈다.

16일 한국은행(한은)이 발표한 ‘2024년 3월 수출입물가지수(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원화기준)는 원·달러 환율 하락에도 국제유가가 오르면서 2월(137.24)보다 0.4% 상승한 137.85(2015년=100)로 올랐다. 우리나라에 많이 수입되는 두바이유는 지난달 평균 1배럴(약 159ℓ)당 84.18달러로 한 달 전보다 4.1% 상승했다.

수입물가는 먼저 원재료가 광산품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0.9% 올랐고, 중간재는 석탄‧석유제품과 1차금속제품 등이 오르며 전월 대비 0.4% 상승했다. 자본재는 0.1% 올랐지만, 소비재는 전월 대비 0.2% 하락했다.

품목별로는 원재료 중에서 커피(4.7%)와 원유(4.0%)이 오름세를 이끌었다. 중간재 중에선 부타디엔(9.1%)과 액정표시장치용부품(6.9%), 동정련품(4.3%)과 나프타(1.9%) 등이, 자본재에선 인쇄기계(0.7%) 등을 중심으로 상승했다.

한편 지난달 수출물가지수(원화기준)도 120.89(2015년=100)로 2월(120.39)보다 0.4%, 2023년 3월(117.79)보다 2.6% 올랐다.

수출물가가 상승한 이유는 원·달러 환율 하락에도 화학제품과 컴퓨터·전자·광학기기 등이 오른 영향이다. 지난달 원·달러 평균환율은 1330.70원으로 1달 전보다 1.04원(0.1%) 하락했다. 수출물가지수는 수출 계약가격을 원화로 환산해 작성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환율이 상승하면 상품가격도 오르고 하락하면 가격도 내리게 된다.

지난달에는 농림수산품 수출물가는 과일(-8.6%)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3.1% 하락했다. 반면 공산품 수출물가는 플래시메모리(8.1%), 은괴(7.7%),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7.6%), ABS수지(6.3%) 등이 오름세를 이끌며 전월 대비 0.4% 상승했다.

유성욱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반도체 수출 가격은 전월 대비 1.3%, 전년 동월 대비 18.9% 상승했다”고 전하며 “이달 들어 더 오른 환율과 유가가 지난달 지수에는 반영되지 않았다”고 말해 4월 물가지수 추가 상승 가능성을 시사했다.

<문화경제 한원석 기자>

관련태그
수출입물가  국제유가  두바이유  4월 물가  한국은행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