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이미지
중랑구 패션 브랜드 '포플(FORPLE)’ 22년 F/W 컬렉션 출시
중랑구(구청장 류경기) 패션봉제 공동브랜드인 포플(FORPLE)이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를 통해 2022년 가을/겨울 컬렉션을 출시한다.9월 13일 오전 11시 펀딩 플랫폼 와디즈를 통해 단독 출시된다. 카카오톡 이모티콘으로 대중에게 잘 알려진 토끼 캐릭터 베니와 협업으로 제작한 그래픽 티셔츠를…
대표이미지
하이트진로, 더 커지고 가성비도 높인 1.9ℓ 대용량 ‘테라’ 페트 출시
하이트진로가 1.9ℓ짜리 대용량 청정라거-테라 페트 제품을 새롭게 출시한다. 이로써 기존 1ℓ1.6ℓ 제품과 함께 모두 세 가지의 대용량 페트 라인업을 갖추게 됐다.하이트진로는 올 상반기 소비자조사를 거쳐 1.6ℓ가 부족하다고 느끼는 소비자에 맞춘 최적의 용량을 만들기로 결정했다.고물가 시대…
대표이미지
오비맥주, 전국 대도시서 ‘한맥’ 릴레이 소비자 행사 펼쳐
오비맥주가 부산대구광주대전 등 전국 대도시 상권에서 한맥을 알리기 위한 릴레이 소비자 행사를 진행한다.오비맥주는 지난달부터 이달 초까지 부산 해운대에 한맥부산 팝업 홍보관을 열고 상권 프로모션을 열었다. 홍보관 전면에는 한맥과 카스 공병을 활용한 대형 LED 전광판을 만들고, 내부에는…
대표이미지
컴투스 인기 모바일 게임들이 모여 풍성한 '한가위' 잔치 연다
모바일 게임 기업 컴투스(대표 송재준, 이주환)가 민족대명절 추석을 맞아 여러 인기 모바일 게임에서 다양한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7일 밝혔다.먼저, 컴투스의 인기 스포츠 게임 3종이 이벤트를 통해 명절 분위기를 북돋는다. 컴투스프로야구2022는 9월 12일까지 모든 접속 이용자에게 구단 선택 플래…
대표이미지
롯데건설, ‘위험성평가 AI’ 개발… 선제적 안전관리 가능해져
롯데건설이 지난 2일 위험성평가 AI 프로그램 가동을 시작하면서, 앞으로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한 선제적인 안전관리가 가능해졌다.위험성평가란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전 모든 작업의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이의 대책을 선정해 실행하는 과정이다.롯데건설과 롯데정보통신이 개발…
대표이미지
K뷰티 탈중국, 이제는 북미다!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의 해외 진…
K뷰티의 글로벌 전략에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이제 K뷰티는 중국을 넘어 북미로 진격하기 시작했다. 중국 시장에서의 부진이 이유는 아니다. 글로벌 화장품 격전지이자 글로벌 최대 시장인 미국은 언젠가 넘어야 하는 산이었다. 중국 시장의 부진은 그 속도를 더 가속화했을 뿐이다. K뷰티의 양대 산…
대표이미지
[술술인터뷰] 이승훈 전통주전문점협의회 회장 “전통주 전문점? 훌…
전통주점이라고 하면 MZ에겐 낯설다. 사실, 기성세대여도 아주 익숙지는 않다. 황토색 벽에 한국적인 액세서리들, 어디 출신인지 모를 막걸리가 담긴 주전자, 그리고 파전이나 두부김치, 거기에 더해 알 듯 모를 듯한 옛 노래까지. 그래도 한 시대의 어엿한 음주문화였음은 부정할 수 없다.이젠 전통주…
대표이미지
윤 대통령, ‘태풍 피해 긴급점검’ 국무회의 마친 뒤 최대 피해지 포항…
6일로 예정돼 있던 국무회의를 하루 순연해 7일 오전 태풍 힌남노 피해상황 긴급점검 국무회의로 변경해 주재하는 윤석열 대통령은, 국무회의 주재 뒤 이번 태풍의 최대 피해지인 포항을 방문할 예정이다.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출근길 문답에서 저는 일단 국무회의를 마치고 가장 큰 피해를…
대표이미지
포항 지하 주차장 구조에도 해병대 활약 … 윤 대통령, 해병 1사단장에 “…
경북 포항의 침수된 아파트 지하 주차장 참사에도 불구하고 생존자를 구출하는 데 해병대 1사단이 경북소방본부와 함께 협력하며 도움을 준 데 대해 윤석열 대통령이 치하했다.윤 대통령은 7일 0시 용산 대통령실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실시간 구조 상황을 점검했으며 현지 소방본부와 해병 1사단 측…
대표이미지
“일본해(동해)에 尹 정권은 왜 원전 계속 짓나” … 희한한 제목의 일본…
이상한 제목의 기사가 지난 3일 일본 마이니치신문에 실렸다. 한국의 탈탈원전(탈원전 정책에서 탈피하려는) 정책을 소개하면서, 거의 일본의 원전을 보고 왔다(「ほぼ日本」の原発を見てきた)고 제목은 달아놓았기 때문이었다. 한국 원전을 얘기하면서 왜 거의 일본의 원전이라고 썼을까.헷갈리는…


CNB 저널 FACEBOOK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