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칼럼
·
[데스크칼럼] AI 금융혁신과 ‘블랙박스’
은행권의 AI 활용 응대 서비스 예상도. 사진=Grok전 세계 금융산업이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급격히 재편되는 가운데, 그 혁신의 이면을 좀더 면밀히 들여다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AI의 전면 도입으로 금융의 본질이 바뀌어가는 과정에서, 새로운 시스템 리스크가 만들어지고 있다는 것.일반적…
[서울옥션 스페셜리스트의 눈] 수장가의 눈, 시대를 잇다
오는 10월 28일 열리는 서울옥션 제187회 미술품 경매에는 특별한 섹션이 마련됐다. 바로 백락시선(伯樂視線)이라 이름 붙인 고미술파트의 기획 구성이다. 한 분의 소장품으로 구성된 이 컬렉션은 경매 도록에서 고화를 중심으로 총 13점을 묶어놓았으나, 앞서 근대동양화와 말미에 추사 김정희의 간…
[데스크칼럼] 대한민국은 ‘소프트파워 강국’일까?
글로벌 소프트 파워 인덱스 2025의 소프트파워 상위 20개국 순위. 자료=브랜드 파이낸스최근 소프트파워라는 개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K-Pop, K-드라마, K-무비 등 다양한 한류 문화 컨텐츠의 글로벌 성공에 힘입어 한국의 소프트파워가 강력해졌다는 뉴스가 자주 눈에 띈다. 과연 한국은 소…
[천수림의 현대사진산책+] 강의 권리
아시아를 가로지르는 메콩강은 어머니의 강(Mae Nam Khong, 메남콩)으로 불리며, 신성한 존재로 여겨진다. 칠레의 마푸체 원주민도 마찬가지다. 물(Ko)을 영토, 치유, 생명의 근원으로 여긴다. 전 세계적으로 생태문제가 심각해지는 요즈음 우리는 이런 질문을 던질 수 있다. 강도 인간처럼…
[서울옥션 정태희 경매사의 작가 탐색] 영원한 물방울, 김창열
지난 9월 23일 열린 서울옥션 제186회 미술품 경매에 유독 많은 문의가 있던 작품들이 있었다. 바로 김창열 작가의 작품이다.1929년 태어나 2021년 세상을 떠난 그의 작품이 근래 다시 주목을 받는 모양인지, 경매 작품을 전시하는 프리뷰 기간 동안 미술품 애호가들 문의가 심심찮게 있었다. 그 중 상…
[데스크칼럼] 트럼프 행정부의 3500억 달러 투자 압박, 한국의 선택은…
8월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 후 이재명 대통령과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대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70년 넘게 유지되온 한국과 미국의 동맹 관계가 갑자기 냉랭해졌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과도한 미국 우선주의가 불러온 결과다. 뜬금없…
[매월당 싯길 (21) 영서 옛길] ‘소금 뿌린 듯’ 메밀 꽃은 그대로인데…
(문화경제 = 이한성 옛길 답사가)각림사를 출발한 매월당은 멀리 오대산을 향해 길을 떠난다. 길은 주천강을 끼고 동북쪽으로 이어진다. 이윽고 도착한 곳이 작은 산촌 마을 안흥(安興)이다. 원주에서 이어온 관동대로와 횡성에서 내려온 길이 만나 지금의 42번 국도가 되어 안흥으로 들어온다. 매월당…
[100일 기자회견] 기자들 무릎 탁 치게 만든 李대통령의 '3 현답'은 무…
역시 토론의 달인이야 11일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100일 기자회견을 마친 기자들 중 여럿이 이 대통령의 말솜씨와 토론 주재 능력에 감탄하면서 이런 말들을 주고받았다.이런 호평은 특히 이 대통령이 일부 기자들의 이른바 프레임을 거는 낚시성 질문에 말려들지 않으면서 나왔다.이쪽이냐 저쪽이냐…
[서울옥션 스페셜리스트의 눈] 미술 시장의 새로운 언어 ‘럭셔리 아…
럭셔리와 예술의 만남은 우연이 아니다. 매년 아트바젤과 UBS 은행이 공동 발행하는 아트마켓 리포트인 디 아트 바젤 앤 UBS 서베이 오브 글로벌 컬렉팅(The Art Basel UBS Survey of Global Collecting)의 2023년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 이후 고액자산가(HNWI) 고객의 부의 상…
[칼럼] ‘세계 최강 소통’ 李대통령의 소통 철학은? 100일 기자회견…
11일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100일 기자회견의 캐치 프레이즈가 더 나은 경제, 더 나은 소통, 더 큰 통합으로 잡혔다.이 중 필자의 시선을 잡아끈 것은 더 나은 소통이었다. 왜냐하면 이래도 되나 싶을 정도로 많이 소통하는 역대 최초의 대통령을 지금 한국 국민은 맞고 있기 때문이었다.요즘 흔히 TV 뉴…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