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청와대 권력구도 재편 불가피 시기·범위 ‘주목’

“계획없다”지만 대변인-홍보기획관 업무중복 해결해야…전면개편설도 ‘솔솔’

  •  

cnbnews 제97호 심원섭⁄ 2008.12.16 15:48:17

청와대 대통령실의 조직개편이 청와대 측의 적극 부인에도 불구하고 그 시기 및 범위에 대해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국정 컨트롤 타워’인 청와대가 조직개편 과정에서 어떤 식으로든 권력구도 재편이 불가피한 가운데, 향후 정국의 향방을 좌우할 폭발력을 가진 뇌관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사실 대통령실 조직개편 문제는 지난 6월, 새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대통령실 조직이 개편되면서부터 거론돼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당시 ‘미국산 수입 쇠고기 파동’을 겪은 청와대는 대국민 홍보 역량 강화를 기치로 홍보기획관실을 신설했으며, 동시에 기존에 대변인실이 전담했던 대(對)언론정책 및 관리, 대통령 이미지 관리 등의 업무가 홍보기획관실과 대변인실로 분산되었던 것이다. 그러면서 한나라당 경선 캠프 대변인 출신인 박형준 홍보기획관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대변인 출신인 이동관 대변인 사이를 경쟁 관계로 보는 미묘한 전선이 형성됐다는 평이 나오기 시작했다. 물론, 세분화해서 나누긴 했지만 업무 중복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실질적으로 두 사람이 업무를 조율하는데 한계가 있고, 그에 따라 양측의 충돌이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두 사람 모두 언론인 출신이라는 공통점 외에 일목요연하고 정곡을 찌르는 브리핑 능력, 뛰어난 정무적 판단력으로 이 대통령의 신임을 받고 있지만, 섣불리 자웅을 가리기 어렵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 국정상황실·금융비서관실 부활하나 따라서, 조직개편의 명분은 ‘이동관 대변인 대 박형준 홍보기획관’의 라이벌 구도를 단순화시키기 위한 업무 중복 부서의 통폐합이라는 것이다. 결국, 참여정부 때처럼 홍보수석비서관 산하에 비서관급 대변인을 두거나, 홍보기획관을 홍보수석비서관으로 승격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 외에, 지난 6월 통폐합된 금융비서관실을, 국제금융위기 여파로 실물경제가 위태로운 만큼 금융 문제를 총괄할 별도의 비서관실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부활시켜야 한다는 의견도 꾸준히 나오고 있다. 그리고 청와대 내에 각 부처나 기관들의 정보보고를 종합하는 기능이 없고 파트별로 분산돼 있어 급박하거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 국정 상황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국정상황실을 부활하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언론에 의하면,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정부 출범 초에는 기획조정비서관실이 각종 정보보고를 취합해 대통령에게 직보했으나, 박영준 전 비서관의 사퇴 이후 이 업무가 분산되는 바람에 유기적인 상황대처를 위해서는 정보의 취합과 보고를 전담할 기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다”며 “하지만 국정상황실에 힘이 쏠려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는 부담 때문에 이 방안이 결정됐다고는 할 수 없고, 테이블 위에 올려 있는 상태”라고 전했다. 사실, 국정상황실장 자리는 국민의 정부 때는 장성민 전 의원, 참여정부 때는 이광재 민주당 의원과 천호선 전 대변인 등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들이 주로 맡아 왔다는 측면에서, 국정상황실을 부활시킬 경우 박 전 비서관이 맡는 방안도 나오고 있으나, 야권은 물론 여당 내에서도 반발이 적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이 언론은 전하고 있다. 대신, 국정상황실장을 수석비서관급으로 올려 추진력 있는 S 차관 등이 맡도록 하자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주장들이 꾸준히 제기되자, 당초 대통령실 조직개편은 이르면 연말에 단행되리라 예측됐으나, 국제금융위기가 터지면서 “국가 경제가 휘청거리는 만큼 조직개편은 연초로 미뤄도 무방하지 않느냐”는 의견들이 설득력을 얻으면서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듯했다. ■ 대통령실장 “비서진 많이 바꿀 예정” 하지만, 12월 6일 이명박 대통령이 대략의 대통령실 조직개편안을 보고받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청와대는 “급할 것 없다”던 기존 입장을 뒤집고, “우선 대통령실부터 재정비한 뒤 국정운영을 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이면서 분위기가 급반전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과정에서 홍보기획관실과 대변인실 통합, 금융비서관실 부활 문제뿐 아니라 차제에 ‘3기 청와대 참모진’을 출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특히, 미국에 유학 중인 이재오 전 한나라당 최고위원의 대통령실장 기용설과 곽승준 전 국정기획수석비서관의 청와대 복귀 등이 언급되면서, 이번 기회에 대통령실장을 비롯해 수석비서관 전원을 개편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 등 청와대 안팎에 민감하게 반응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정정길 대통령실장이 최근 한나라당 의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의원들이 대통령 비서진에 대해 “일은 제대로 못하면서 권위주의적이다”라고 비판하자 “이번에 비서진을 많이 바꿀 예정이다”라고 말해 청와대 조직개편이 기정사실로 받아들여 지기도 했다. 또한, 다른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당시 기자들과 만나 “교체할 비서진의 명단 작성이 끝났으며, 새 비서진에 대한 검증이 진행 중이다. 수석비서관에서부터 행정관까지 물갈이 폭이 예상보다 클 것”이라며, “당초 이 대통령 취임 1주년을 맞는 내년 2월 말에 청와대 조직을 개편하려다가 일정을 앞당기게 됐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청와대 측은 조직개편 대상이 확대될 기미를 보이자, 꾸준히 조직개편 대상으로 지목된 이동관 대변인의 8일 오후 정례 브리핑을 통해 “대통령실과 내각 조직개편에 대해 여러 가지 추측성 보도가 많이 나갔더라”며 “청와대 조직개편은 현재로서는 검토되거나 논의된 바 없다”고 단언하는 등 즉각 진화에 나섰다. 그리고 이 대변인은 “연초 등 어떤 시점에서 기자회견이든 성명 발표든 어떤 형태로든 간에 이명박 대통령이 입장을 발표하게 된다면 여러 가지 시나리오를 준비하는 게 우리가 할 일”이라며 “그 중 (언론에서) 어떤 얘기를 들었다고 해서 결과적으로 그렇게 되거나 그런 결론이 되는 게 요행히 맞을 수도 있지만, 그렇게 되지 않을 경우도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대변인은 “그러니 청와대 조직개편 관련 기사, 특히 ‘(이동관 대변인과 박형준 홍보기획관 중) 누가 웃을까’ 류의 기사는 쓰지 말아달라”며 “언론에서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그런 기사들이 (대통령실에) 얼마나 많은 부작용을 끼치는지 모른다”고 호소했다. ■ 이 대통령 의중이 가장 큰 변수 이 대통령이 12월 6일 대통령실 조직개편에 대한 보고를 받은 것과 관련해서는 “실무를 준비하는 입장에서 여러 가지 상황을 염두에 두고 대응할 수밖에 없지만, 나는 솔직히 무슨 안이 보고됐는지 모른다”며 “분명히 얘기하지만, 현재로서는 언론에서 얘기하는 식의 조직개편은 없다”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이 대변인은 “언론에 흘러나온 ‘청와대 관계자’들의 발언은 하나의 의견일 뿐이므로 꼭 그렇게 된다는 보장은 없다”고 설명하면서도, “연말까지 조직개편이 없다는 뜻이냐”는 기자들의 질문에는 “현재로서는…”이라며 즉답을 피해 묘한 여운을 남겼다. 이 대변인과 함께 조직개편 대상으로 떠올랐던 박형준 홍보기획관은 11일 오전 ‘mbn 뉴스광장’에 출연하여 연말 청와대 조직 개편 가능성에 대해 “청와대 내부에서 그런 논의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청와대를 개편한다는 것은 어떤 면에서 한가한 얘기”라고 일축했다. 그리고 박 기획관은 “연말까지 청와대나 내각이나 정신이 없다”며 “내년 업무보고를 올해로 당겨서 할 예정이고, 예산안만 통과되면 연말에 처리해야 할 법안들이 굉장히 많다. 그런 문제들을 처리하는데 청와대의 관심이 집중됐다”고 설명했다. 박 기획관은 이 대변인과 자신이 알력 다툼을 하고 있다는 시각에 대해 “지나친 상상력이 빚어낸 얘기지만, 그런 일은 절대로 없다”고 단언하면서 “최근 보도를 보면 흥미 위주의 보도가 많이 나가던데, 없는 사실이 나오고 있다. 자꾸 얘기하면 일이 더 커지기 때문에 그냥 웃고는 있지만, 사실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청와대 측의 적극적인 부인은 인사권자인 이 대통령의 뜻이 인사 문제의 가장 큰 변수인 만큼 뚜껑이 열리기 전까지는 조직개편의 폭과 대상을 가늠하기 어렵다는 뜻으로도 풀이되고 있다. 심지어 청와대 일각에서는 당분간 현 체제가 유지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청와대의 핵심 관계자는 “이 대통령은 수직적이고 단일화된 구조보다 약간 중복되더라도 경합하고 경쟁하면서 빈틈없이 이뤄지는 인사를 선호한다”고 말해, 2기 참모진 체제가 유지될 가능성에 신빙성을 더해주고 있다. 즉, 다소 중복되는 부서가 있더라도 경제 문제로 어수선한 만큼 일단 연초까지 끌어안고 갈 가능성도 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대통령실 조직개편 문제가 개각과 맞물려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이 대통령의 최종 판단이 주목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