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32호 최송이 프로(연세대학교 골프리모텍 실장)⁄ 2015.05.27 09:07:58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
(CNB저널 = 최송이 프로(연세대학교 골프리모텍 실장))
임팩트 시 왼쪽-오른쪽의 다리 모양
가장 효율적인 임팩트는 스윙 중 균형 잡힌 몸의 동작(스윙 폼)과 에너지가 공에 모두 전달되는 것이다. 효율적인 임팩트를 위해 어드레스와 백스윙 그리고 다운스윙을 확인하고 교정하는 절차를 거친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모양의 어드레스와 백스윙을 갖추고 있다 해도 임팩트 순간, 공에 에너지가 전달되지 않는다면 스윙에 아쉬움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스윙의 모양이 독특하더라도 적절하게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고, 클럽과 몸의 타이밍을 맞춘 스윙이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사항이 있다. 스윙의 모양이 독특하든 아주 효율적이든, 임팩트와 임팩트 직후의 몸의 모양은 일관된 모습을 보인다. 즉, 몸의 에너지를 대부분 전달하고 클럽이 스퀘어 돼 적절한 타이밍에 임팩트 될 때 몸의 모습은 일관되게 나타난다는 것.
임팩트 시 우리 몸에는 신전(伸展, 늘이어 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복근, 엉덩이 근육, 햄스트링에는 강한 수축이 일어나 몸에 있던 에너지를 공에 발산한다. 이때 왼쪽, 오른쪽 다리 모양으로 몸의 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전달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경우라면 자신의 오른쪽 무릎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① 스윙을 교정 받을 때 종종 ‘얼리 익스텐션(임팩트 되기 전 몸이 펴지는 증상)이 생긴다’ ‘다운스윙 때 상체가 튀어 나온다’ 또는 ‘오른쪽발이 빨리 떨어진다’ 등의 이야기를 듣는다. ② 심한 뒷땅이 자주 발생하거나 푸시 슬라이스 구질(오른쪽으로 출발해 오른쪽으로 공이 휘어 날아가는 샷)이 주로 나온다. ③ 드라이버샷이나 우드샷에서 클럽 스피드(헤드 스피드)가 상대적으로 아이언샷에 비해 느리다.
우리 몸은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활용 가능한 에너지(힘)의 양이 있다. 몸의 에너지를 공에 온전히 전달하느냐 못하느냐는 스윙 기술의 차이도 있다. 하지만 몸의 비효율적인 움직임으로 근육의 사용 또한 비효율적으로 전개돼, 임팩트 순간 필요한 곳이 아닌 다른 곳에 에너지가 사용되거나, 임팩트 때 사용하지 못하고 임팩트 이후에 사용되는 경우 또한 있다.
임팩트 때 왼쪽 다리와 오른쪽 다리의 움직임을 통해 에너지 사용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임팩트 순간, 왼쪽 다리보다 오른쪽 다리가 상당히 앞쪽 방향 즉, 얼굴방향으로 움직인다면 에너지 손실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에너지 사용에 올바른 동작은 다음과 같다. 오른쪽 다리 무릎에 신전(펴짐)이 발생한 뒤 앞쪽 방향(얼굴방향)이 아닌 왼쪽 다리 방향으로 오른쪽 다리가 움직이는 현상이 나타나야 몸의 에너지를 임팩트 순간에 온전히 사용했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윙 중 자신의 오른쪽 다리에 대해 체크해 볼 필요가 있다. 아래의 내용을 체크해 보면 스윙 중 몸의 에너지를 온전히 전달하고 있는지, 못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임팩트 구간에서 오른발이 앞으로 튀어나올 때 측면 모습. 오른쪽 무릎이 앞으로 튀어나오는 걸 볼 수 있다.
▲임팩트 구간에서 오른발이 앞으로 튀어나올 때 정면 모습. 임팩트 순간 왼쪽 다리보다 오른쪽 다리가 상당히 앞쪽으로 움직이면 에너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임팩트 시 오른쪽 다리에 신전이 발생한 모습. 몸에 신전이 발생하고 복근, 엉덩이 근육, 햄스트링에는 강한 수축이 일어나 몸에 있던 에너지를 공에 발산하게 된다.
▲에너지 사용이 올바르게 이뤄진 동작. 임팩트 순간 오른쪽 다리 무릎이 펴지고, 앞이 아닌 왼쪽 다리 방향으로 움직이는 걸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