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이미지
시린 네샤트 "개인적 경험을 하지 않은 것을 작품으로 만들 수 없다"
(CNB=왕진오 기자) "내 작품 속의 여성들은 강인하고 품위와 용기가 있으며 행동 하는 사람들로 표현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묘사는 이란 여성들에 대한 나의 솔직한 생각과 해석을 담고 있다. 이들은 어떠한 억압에도 결코 겁먹지 않으며 침묵하지 않는다."이란출신 미술 예술가 시린 네샤트(Shirin…
대표이미지
중부권 대표 문화공간'야우리시네마', 헤리티지 빈티지 컨셉 리뉴얼 오픈
(CNB=왕진오 기자) 국내 단일극장으로는 유일하게 3년 연속 전국 관람 동원 TOP 10을 기록해 온 천안 야우리시네마(점장 김세완)가 4월 1일 아날로그 감성을 강조한 ‘헤리티지 빈티지’ 컨셉트의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찾아온다.2001년 9월 21일 천안 지역 최초의 멀티플렉스 형태로 개관한 야우…
대표이미지
한음저협, 투명한 회계 실시 일환 협회장 저작권료 공개
(CNB=왕진오 기자) 31일 (사)한국음악저작권협회(회장 윤명선, 이하 한음저협)가 지속적으로 변화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투명한 회계업무 수행'의 일환으로 협회장인 윤명선 회장의 저작권료를 협회 홈페이지(www.komca.or.kr)에 공개했다.이날 한음저협은 윤명선 회장의 2014년…
대표이미지
썩은 고기에도 이상 없는 독수리의 특이유전자 확인
(CNB=왕진오 기자) 31일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강순형)는 미래창조과학부 국립중앙과학관(관자 최종배), 테라젠바이오연구소(소장 박종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원장 오태광)와 공동연구를 통해 세계 최초로 천연기념물 제234-1호 독수리(학명: Aegyp…
대표이미지
[심원섭 대기자가 만난 사람 - 우상호 의원]“공천으로 훌륭한 인재 발…
“나는 기초공천폐지가 큰 개혁이라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일관되게 반대해 왔다. 공천이라는 것은 정당이 이 제도를 통해서 훌륭한 인재를 발굴해 국민들에게 좋은 사람을 추천하는 기본 행위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물론 지난 대선과정에서 안철수, 문재인, 박근혜 후보등 대선후보들이 모두 공약…
대표이미지
[데스크 칼럼]대기업 규제하니 외국기업이 덕 봐 “국부유출 심각, 누…
‘규제는 거미줄과 같다“ 그리스의 철학자 아나카르시스의 말이다. 약자나 빈자는 거기에 걸려서 꼼짝 못하지만, 강자나 부자는 뚫고 지나간다. 시대를 초월해 현실을 꿰뚫는 명언이다. 이 말이 다시 생각난 건 3월20일 청와대에서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열린 규제개혁회의 때문이다.이날 회의는 규제…
대표이미지
[리더십이 경쟁력이다 ⑲]바이오더십(biodership) 응용해 특별…
『현대를 살아가는 리더는 조직의 변화를 리드하는 주체가 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자신 역시도 변화해야만 하는 객체가 되기도 한다. 다시 말하면 리더는 인플루엔서(Influencer: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람)로서 조직 구성원들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영향력을 행사함과 아울러, 자기 스스…
대표이미지
[인터뷰 - 이태호 위스캔 대표]종이 없는 회의실…스마트폰에 담았다…
“자신이 좋아하고 정말 잘할 수 있는 분야에서 열정과 도전 정신을 발휘한다면 못할 일이 없을 것이다” 이태호 위스캔 대표의 말이다.그는 현재 전자문서 솔루션 업체의 CEO로서, 태블릿 PC와 스마트폰에서 실시간으로 문서 화면을 공유하고, 필기, 메모 등을 할 수 있는 휴대형 전자칠판 ‘위노트…
대표이미지
[세계의 명차 브랜드 ⑰ 롤스로이스]110년 이어져 온 英 전통 명차, 실…
『날개 짓 하는 듯한 여성 ‘플라잉 레이디’ 마스코트와 파르테논 신전을 닮은 웅장한 라디에이터 그릴로 유명한 롤스로이스는 영국을 대표하는 최고급 명차다. 전설적인 실버고스트부터 최근의 팬텀까지 롤스로이스의 역대 모델들은 하나같이 ‘꿈의 자동차’로 선망의 대상이 되어왔다. 단 한 사람…
대표이미지
[이홍규 재테크 칼럼]반면교사(反面敎師)
재테크란 금융수익 획득을 목표로 하는 일련의 재무활동을 말한다. 과거에는 기업에 한정돼 사용된 개념이었으나 최근에는 개인이 재산증식을 위해 은행, 주식과 부동산 등에 투자하는 행위도 재테크의 범주 안에 포함될 정도로 그 범위가 넘어졌다. 우리의 경우 2000년대 초반 이후 글로벌 유동성 증…


CNB 저널 FACEBOOK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