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문화-미술
·
[이상주 작가의 ‘세종의 독서와 공부’ ]도대체 술을 어찌하랴?
“신민(臣民)들이 술 때문에 덕을 잃는 일이 가끔 있는데 이를 고려의 풍조가 다 없어지지 않은 탓이다. 이는 매우 민망한 일이라는 생각을 밝혔다.” 세종실록/15/10/28조선의 주신(酒神) 중 한 명이 세종 때의 학자 윤회다. 열 살의 어린 나이에 통감강목을 외운 그는 총명함과 민첩함으로 태종과 세…
[심원섭 대기자가 만난 사람 - 정세균 국정원개혁특위 위원장]“국정…
“정부 각 부처 장관들은 국회도 있고, 총리도 있고, 대통령도 있고, 국무회의도 있어 서로 견제하고 감시할 수 있다. 그러나 국정원은 아무 것도 견제기능이 없이 대통령한테만 보고한다. 따라서 유일한 보고자이자 상관이 대통령이기 때문에 과거에 국정원의 일탈행위가 있었다면 그것은 무조건 대통…
[최창석의 파워컬쳐]한국-몽골-일본 전통씨름 어떻게 다를까?
우리 전통의 씨름은 샅바를 잡고 상대방을 넘어뜨리는 경기이다. 이와 비슷한 경기는 몽골, 일본, 중국, 베트남 등 세계 각지에 분포해 있다. 그 중에서도 동북아시아에 있는 한국, 몽골, 일본의 씨름은 형태는 조금씩 다르지만, 전통을 지키며 오늘날까지 성행하고 있다. 이들의 형태는 어떤 면에서 다를…
[화제의 신간]왕자 이우(조선왕조의 마지막 자존심)
왕자 이우(조선왕조의 마지막 자존심)김종광 지음 / 1만3500원 / 다산책방 펴냄 / 380쪽1945년 8월 6일 원폭이 투하된 히로시마. 그곳엔 일본 군복을 입은 한 조선인 남자가 쓰려져 있었다. 조국의 군복을 간절히 입고 싶어 했던 그의 이름은 이우. 그는 고종의 5남 의친왕 이강의 아들로 태어나, 흥선…
[화제의 신간]공연의 탄생(대한민국 제1호 예술경영 CEO의 자전 에세…
공연의 탄생(대한민국 제1호 예술경영 CEO의 자전 에세이)이종덕 지음 / 1만8000원 / 숲 펴냄 / 376쪽이 책은 이종덕 충무아트홀 사장의 자전적 에세이다. 올해로 80세인 그가 기억을 더듬어 지난 50년간 걸어온 무대인생과 인생무대를 재구성했다. 저자는 1963년 문화공보부 예술과 공무원으로 시…
[손영미 골프 세상만사]청마의 해! 홀인원의 기상…“주저하던 날개…
어둠을 일깨우고 잠자던 의식을 깨우는 새해! 첫 1월, 지금 당신은 어떤 다짐을, 꿈을 준비 중인가? 상사의 눈치를 살피며 신년회 준비로, 또 깊은 밤을 새우며, 업무보다는 기라성 같은 임원들의 의전에 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지는 않은가.모두가 덕담을 나누며 신년 인사를 나눌 때쯤 필자도 오랜 지인…
[이색현장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앤 파크]천문학적 예산과 규모, 수익…
[서울=CNB]왕진오 기자= 5년간의 공사기간, 공공건축물 사상 최대 예산인 4840억원이 투입된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앤 파크(이하 DDP)가 마침내 베일을 벗고 오는 3월 21일 개관을 목표로 마무리 준비에 들어갔다.이라크 출신의 영국 여류 건축가 자하 하디드(64)가 설계한 세계 디자인 뮤지엄 중…
[아트인 선정 전시]두산갤러리 ‘본업: 생활하는 예술가’전
[서울=CNB]왕진오 기자= 신진 기획자 양성 프로그램 두산 큐레이터 워크숍 3회 참가자들이 공동 기획한 전시 ‘본업: 생활하는 예술가(BONUP:Art as Livelihood)전을 1월 15일부터 2월 22일가지 진행한다.두산 큐레이터 워크숍은 한국 현대미술계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신진 큐레이…
[아트인 선정 전시]당림미술관 ‘한국 미술의 거장전 시리즈Ⅰ’
[서울=CNB]왕진오 기자= 한국 미술계의 큰 획을 그었던 원로작가와 작고작가들인 변종하, 하인두, 이두식, 이상범, 천경자, 윤건철, 박석호, 문신, 김충현 의 작품이 1월 24일부터 4월 20일까지 전시된다. 특히 당림 이종무 화백의 작품 외 20여점의 소장품이 함께 공개된다. ‘당림 이종무’(1916…
[커버 아티스트 - 이종철 작가]내가 그에게 링크했을 때, 그는 나에게…
이종철의 근작은 크게 두 가지 버전 정도로 정리될 듯싶다. 서로 대비되는 화면을 제안하는 경우가 그 하나이고, 그렇게 대비되는 화면이 하나의 화면 속에 유기적으로 통합되는 경우가 또 다른 하나이다. 같으면서 다른, 다르면서 같은 상호 관계적인 이 일련의 그림들을 관통하는 형식적이고 의미론적…
1481
1482
1483
1484
1485
1486
1487
1488
1489
1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