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9월말 기준 우리나라의 순대외금융자산이 2분기보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를 비롯한 글로벌 주가가 하락한 가운데, 원화를 비롯한 주요국 통화가치도 미국 달러화 대비 하락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단기외채 비율이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으로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한국은행(한은)이 발표한 ‘2023년 3분기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대외금융자산(2조2043억 달러)과 대외금융부채(1조4189억 달러)는 2분기보다 각각 208억 달러, 422억 달러 감소했다.
이는 국내 거주자의 대출‧무역신용 등 기타투자(-95억 달러)와 비거주자의 증권투자(-367억 달러)가 각각 감소한 영향이 컸다. 이에 따라 대외금융자산에서 대외금융부채를 뺀 순대외금융자산은 7854억 달러로 전 분기보다 214억 달러 늘어났다.
3분기말 대외채권은 1조20억 달러로 2분기말 대비 169억 달러 줄었다. 중앙은행의 준비자산과 예금취급기관의 대출금 등을 중심으로 단기 대외채권은 153억 달러 감소했고, 기타부문의 부채성증권 등이 줄어들며 장기 대외채권이 15억 달러 감소했다. 예금취급기관(-97억 달러), 중앙은행(-73억 달러), 기타부문(-24억 달러)은 각각 줄어든 반면, 일반정부(+26억 달러)는 증가세를 나타냈다.
같은 기간 대외채무는 6493억 달러로 157억 달러 감소했다. 단기외채는 전분기보다 203억 달러 줄어든 1416억 달러였지만, 장기외채는 기타부문의 부채성증권 영향으로 오히려 46억 달러 증가한 5077억 달러를 기록했다. 단기외채가 감소한 이유는 예금취급기관의 현금 및 예금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대외채무 감소액보다 대외채권 감소액이 훨씬 커지면서 우리나라의 순대외채권은 3527억 달러로 전분기말(3538억 달러)에 비해 11억 달러 줄었다.
준비자산 대비 단기외채비율(34.2%)과 대외채무 대비 단기외채비중(21.8%)은 전분기말 대비 각각 4.2%p, 2.5%p 하락했다. 앞서 2분기 단기외채 비율과 비중은 2012년 12월말 이후 7년 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유복근 한은 경제통계국 국외투자통계팀장은 “예금취급기관의 현금 및 예금은 이란의 국내 동결 자금 회수 등으로 감소했다”면서 “단기외채비율은 코로나19 사태 직전인 2019년 4분기 말 기준(33.1%)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고 단기외채비중은 1994년 통계 편제 이후 최저치”라고 설명했다.
<문화경제 한원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