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가 울산과학기술원(UNIST)·울산대학교와 함께 조선·해양 분야 AI 기술개발에 나선다.
20일 HD현대는 경기도 판교의 회사 글로벌R&D센터에서 HD한국조선해양·HD현대중공업·HD현대로보틱스·UNIST·울산대학교 간 ‘조선·해양산업 AI 기술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날 체결식에는 정부와 학교를 대표해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박동일 산업통상부 산업정책실장, 박종래 UNIST 총장, 오연천 울산대학교 총장이 참석했고, HD현대 측에선 정기선 HD현대 회장, 김형관 HD한국조선해양 사장, 금석호 HD현대중공업 사장, 정영근 HD현대로보틱스 로봇사업부문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협약은 조선·해양산업의 지속 가능 성장과 기술혁신을 위한 산학협력 기반을 강화하고,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첨단기술 분야에서 상호 발전을 도모하고자 마련됐다.
협약에 따라 이들 5개 기관은 향후 △조선업 특화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AI 기반 자율 공정 플랫폼 및 시스템 개발 △데이터 생태계 구축 △전문인력 양성 사업 등에서 공동협력을 펼쳐 나갈 예정이다. 또 조선 분야의 핵심기술과 노하우가 집약된 데이터를 AI 기반의 디지털 국가 전략자산으로 전환, 글로벌 초격차 유지를 위한 자원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HD현대는 이번 조선·해양 분야 산학(産學) 간 ‘AI 기술 동맹’이 글로벌 1위 조선 기술력을 유지하는 기반이 돼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AI 대전환을 한층 더 가속화 해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AI 3대 강국’ 진입 목표 달성에 핵심 역할을 하는 건 물론, 한미(韓美) 조선 협력 프로젝트 ‘마스가(MASGA)’의 추진 속도 역시 더욱 높일 것으로 주목된다. 아울러 부·울·경(부산·울산·경남)으로 대표되는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기선 회장은 “미래 선박 건조 현장은 AI 기술의 활용도에 따라 경쟁력이 좌우될 것”이라며 “이번 산학 기술 동맹이 HD현대의 AI 기술 생태계 구축을 가속화 하는 모멘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배경훈 부총리는 “정부는 4대 권역별 거점을 중심으로 AI 혁신 생태계 구축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HD현대와의 협력은 국내 조선·해양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HD현대는 최근 AI 기술 초격차 확보를 위해 그룹 AI 기술개발을 총괄하는 HD한국조선해양 내 AI 전담 조직을 AIX추진실로 격상하고, 대표이사 직속으로 편제를 변경하는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문화경제 김응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