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신민 큐레이터 다이어리]“그녀에겐 여백이 필요하다”

이우환의 작품철학처럼 비워야 새롭게 채울 수 있어

  •  

cnbnews 제374호 신민 진화랑 실장⁄ 2014.04.14 13:02:36

큐레이터 A양은 부모님이 계신 제주에 봄 휴가를 갔다. 벚꽃으로 가득한 제주의 풍경이 낯설었다. 명절 정도에만 오가다 보니 제주의 봄을 상당히 오랜만에 보았던 탓이다. 서울과 비교가 안 될 만큼 봄날 벚꽃이 풍성했다. 서울만 재미있는 곳이라 생각하고 가능하면 제주로 떠나지 않으려 했다.

“제주는 예술문화가 발달하지 않은 곳이야. 자연은 하루 이틀 보고 나면 계속 똑같은 느낌이라 심심해. 이것저것 볼 것이 넘치는 서울에서 하나라도 더 보고 즐기고 공부해야지. 부모님의 잔소리보다 서울에서 일하고 미술 실컷 보고 지내는 게 훨씬 좋아”

이런 생각으로 수년을 보냈다. 제2의 고향을 예술낙후 지역으로 폄하하며 건방진 태도로 그것이 젊은이의 미덕인 마냥 살고 있었다.

갤러리가, 미술이 한없이 마냥 영원히 좋기만 할 줄 알았다. 나름 A양의 인생에는 굴곡이 있었지만 갤러리와 미술을 사랑하는 것으로 위안 삼으며 삶을 채워나가고 있었다. 지난날의 아픔을 잊고자 일에만 몰입했던 탓일까. 일을 열심히 하는 것이 자신을 돌보는 길인 줄 알았다.

더 큰 굴곡에 부딪히고 나니 힘이 다 빠져나간 느낌, 이런 적이 없었는데 작품으로 눈도 마음도 채워지지가 않았다.

“나는 작품을 통해서 치유를 주창하는 사람인데 내가 그것이 안 될 때가 있다니, 인정할 수 없어, 난 더 이상 진정한 큐레이터로서 자격이 없는 것일까.” 하고 전전긍긍하기 시작했다.

▲갤러리현대 이우환 전시 전경. 사진 = 왕진오 기자


온갖 상념들이 바이러스처럼 걷잡을 수 없이 온몸을 떠돌고 퍼져갔다.

“대체 예술이 무엇일까. 내가 평생 예술을 사랑한들 그것이 얼마나 의미가 있는 것일까. 영원한 사랑에 대한 집착을 어딘가 에라도 하지 않으면 죽을 것 같아서 더 예술을 붙들고 그것을 열정이고 사랑이라고 착각했던 것은 아닐까…”

그녀는 사랑도 일도 미지근한 온도로는 성에 차지 않았다. 활활 불태워야 살아있음에 대한 만족을 느꼈다. 온전히 자신만을 바라보고 성찰할 수 있는 여백, 영혼에 자신만을 위한 깨끗한 공간을 마련해두지 않았던 것이다. 그래서 몰랐다. 더 이상 불태울 대상이 뜻하지 않게 사라졌을 때 그 상실감이 엄청난 좌절을 가져오리라는 것을. 
세상은 이렇게 생기 넘치는데 자신만 다른 세계로 왕따를 당한 것 같았다. 벚꽃 풍경 앞에 가슴이 아렸다. 바보 같을 정도로 예쁜 꽃을 좋아할 줄 알고, 힘들면 실컷 울고 금세 밝음을 되찾곤 했었는데.  

A를 지켜보던 아버지의 말씀이 그녀의 머리에 종을 울렸다. “식물이 자랄 때 썩은 잎사귀나 줄기를 가지치기 하지 않으면 예쁘고 건강한 꽃이 피어날 수 없다. 좋은 추억마저도 현재를 힘들게 하는 지난날의 일들은 잘라버려라. 그래야 새롭게 꽃피울 수 있다.”

A양은 무기력함의 근원을 알아냈다. 이제 자신의 인생에 있어 감당하기 버거울 만큼 많은 기억의 꼬리표들이 쌓였기 때문이었다. 더 이상 자신이 소화하고 저장할 용량을 초과했기 때문에 부패하거나 불필요한 지방이 되어 몸속에 해로운 축적물이 되어있었음을 깨닫는다. 새로운 감성이 생겨날 수 있는 자리가 부족하니 당연히 어떤 작품을 보아도 그 가치를 발견하려는 감성이 자라날 수가 없었고 동요조차 일어나지 않았던 것. 가지치기를 해줘야 할 시기가 온 것이다.

비워야 그 자리를 새롭게 채울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다. 이우환의 작품철학이 여기에 있었다는 것을 진정으로 느끼는 순간이다. ‘내가 그 동안 해온 작품설명은 진짜였다고 할 수 없구나. 작가의 위대함이 이제 진심으로 느껴지네.’

▲예술의전당 반 고흐 전시장 전경. 사진 = 왕진오 기자


제2의 고향 제주가 여백이 있는 그림으로 다가와

이우환은 큰 화면에 점하나 선 하나를 그림으로써 여백을 보게 한다. ‘점으로부터’, ‘선으로부터’ 작업이 극명하게 보여주는 개념은 점과 선이 사라지면서 수많은 여백 즉, 무한한 세계가 열린다는 데에 있다. 둘 혹은 서너 개의 붓자국이 서로간 거리를 두고 드러나는 ‘조응’ 시리즈는 관계에 있어서도 여백을 두는 거리가 있을 때 외부와 내부 모든 곳으로 무한히 호흡하고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리라.

한 곳에 열정과 사랑이 지나치면 잠시 세상 모든 것을 다 얻은 듯 행복감을 느끼지만 여백 없는 공간은 좋은 공기가 들어오고 나쁜 공기가 빠져나갈 순환의 기회를 놓쳐버리는 것과 다름없다. 

인간에게 나쁜 공기란 상처, 분노, 미움, 집착이 아닐까. 다 사랑, 기쁨, 환희 같은 좋은 공기가 변질되어서 생성되는 것들이다. 그것이 깊은 슬픔이나 우울함으로 번져나가기 전에 가지치기 해주어야 일에 대한 회의감이나 사랑에 대한 두려움에 빠지는 일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A양은 영혼에 여백을 두는 일이란 자신에게 소중한 일을 다시 가꾸고 도전해 나갈 기회,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을 다시 헤아리고 아껴줄 기회를 찾게 해주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라는 것을 알게 된 것에 감사했다.      

‘세상은 매일 새롭다, 사랑하는 사람이 매일 새롭게 아름답게 보인다고 말하는 이들은 자신의 아집, 고통, 슬픔을 빨리 털어버릴 줄 아는 훌륭한 존재였구나.’

A양은 그 동안 줌인(Zoom-In) 하는 데에 집착했던 자신 삶의 카메라를 줌아웃(Zoom-out) 함으로써 새로운 풍경을 얻는다. 제주의 청명한 하늘과 벚꽃이 흐드러진 풍경은 그 자체로 좋은 작품이었다. 제주가 여백이 있는 그림으로 새롭게 다가왔다.

- 신민 진화랑 실장 (정리 = 왕진오 기자)

관련태그
CNB  씨앤비  시앤비  CNB뉴스  씨앤비뉴스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