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서울시의회 이병도 시의원 ‘스토킹 피해자 2차 피해 방지 위한 조례 개정안’ 본회의 통과

2차 피해 유형 및 지원시설 업무범위 명확화로 피해자 보호 강화...이병도 의원, “2차 피해에 대한 두려움 없이 필요한 지원 받을 수 있는 체계 구축할 것”

  •  

cnbnews 안용호⁄ 2025.03.13 14:42:26

이병도 의원. 사진=서울특별시의회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이병도 의원(더불어민주당, 은평2)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스토킹 예방 및 피해자등 보호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3월 7일(금) 제328회 임시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번 개정안은 스토킹 피해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하여 2차 피해 유형 및 방지조치를 구체화하고, 피해자 지원시설의 업무범위를 명확히 규정함으로써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기존 조례는 ‘2차 피해’를 ‘고용관계에서의 불이익조치’로 한정하고, 적용대상도 ‘서울시 및 소속기관의 피해자 또는 신고자’로 제한해 모든 서울시민을 보호하기 위한 당초의 입법취지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었다. 이에 따라 보다 포괄적인 보호를 위한 개정이 필요했다.

이에 개정안은 ▲스토킹 피해자가 사건 처리 및 회복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정신적ㆍ신체적ㆍ경제적 피해, ▲집단 따돌림, 폭행ㆍ폭언,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피해, ▲고용관계에서의 불이익조치 등을 ‘2차 피해’로 확대하여 규정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조문도 신설하여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2차 피해를 예방하고 적극적인 보호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됐다.

또, 스토킹 피해자 지원시설의 업무를 ▲스토킹 신고 접수 및 상담, ▲신체적ㆍ정신적 안정과 일상회복 지원, ▲심리상담ㆍ법률ㆍ의료 등 지원, ▲거주지 이전 및 보호시설 입소 연계, ▲스토킹 방지 교육ㆍ홍보, ▲스토킹 관련 조사ㆍ연구 등으로 명확히 규정했다.

이병도 의원은 “스토킹 피해자가 2차 피해를 겪게 되면 회복이 더 어려워지고, 피해의 은폐와 방치로 이어져 범죄 대응 효과도 저하될 우려가 있다”며, “이번 조례 개정을 통해 피해자의 권리와 안전을 보호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구축하여 2차 피해에 대한 두려움 없이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문화경제 안용호 기자>

관련태그
서울시의회  이병도  스토킹  스토킹피해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