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전체기사
·
[고윤기 법률 칼럼] 핀테크 악용한 금융 다단계에 주의
(CNB저널 = 고윤기 로펌고우 변호사/서울지방변호사회 사업이사) 세상이 빠르게 변하다 보니 IT 업종의 기술이나 방식이 다른 영역에서 활용돼 기존 질서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금융권도 예외는 아닙니다. 최근 등장한 단어 중에 ‘핀테크(FinTech)’가 있습니다. 핀테크는 Fin…
[송행근 중국 부자 - 양란] 얼굴 아닌 의지로 거부 이룬 ‘中 12대 미녀…
(CNB저널 = 송행근 중국경제문화학자) 부자들은 사랑받고 존경받을 수 있을까? 중국인들은 결코 부자를 사랑하거나 존경하지 않는다. 부러워하고 되고 싶을 뿐이다. 하지만 예외는 있다. 바로 양꽝(陽光) 미디어투자그룹 회장 양란이다.양란(杨澜)은 중국 미디어의 여제(女帝)이다. 중국의 ‘오프라…
[김현주의 나홀로 세계여행 - 코타키나발루] 멋진 경치와 잔혹한 日 침…
(CNB저널 = 김현주 광운대 미디어영상학부 교수)5일차 (코타키나발루)도시와 인근 섬 사이 제셀톤 포인트도시 탐방에 나선다. 평소 동남아 웬만한 지역에서는 스쿠터를 대여해서 근거리 교통수단을 대신했듯이 여기서도 스쿠터가 안성맞춤으로 보이지만 아뿔싸! 면허증을 여행 짐에서 빠뜨렸다. 이…
[문정섭 건강 칼럼] 가장 확실한 위암 예방법은?
(CNB저널 = 문정섭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한국인의 사망 원인 1위는 암이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가 발표한 최근 국가암등록 통계에 따르면 기대수명(81.9세)까지 생존할 때 암에 걸릴 확률은 36.6%로 남자는 5명 중 2명, 여자는 3명 중 1명에서 암이 발생한다.가장 많이…
[손영미 골프 세상만사] 리디아 고의 타고난 여유에서 배우다
(CNB저널 = 손영미 골프 칼럼니스트) 햇볕은 쨍쨍 모래알은 반짝. 무더위가 점점 기승을 부리는 한낮, 연일 한국 여자 프로 선수들의 승전보가 전해진다.뉴질랜드 갤러웨이 소속 골퍼인 리디아 고와 오지현(20·KB금융그룹)이 동반 우승의 쾌거를 안겨줬다. 특히 연속 36주 세계 랭킹 1위 자리를 지…
[김종영미술관 ‘오늘의 작가’ 나점수] “인간의 허무한 관념체계,…
최근 일어나는 미술계 이슈들에 따라 현대미술에 대한 생각을 새삼스럽게 다시 해보는 요즘이다. 논의가 심화되고 복잡다단해질수록 예술가로서의 본질을 연구하며 외부의 자극에도 흔들림 없이 길을 가는 사람의 작품에 집중하게 된다. 관객이 작품을 바라볼 때, 누군가는 이 작품이 ‘현대미술이다…
국내 첫 입체 조형을 위한 아트페어 ‘조형아트서울(PLAS)'개최
미술시장, 특히 경매 시장에서 그나마 예전에는 간간히 보이던 작은 조각 작품들도 안 보이기 시작한 지 꽤 된 것 같다. 회화 중심의 작품들로만 미술품 거래가 이뤄지다 보니, 입체 조형작품에 대한 관심은 멀어지는 것은 물론, 예술품이 금전적 가치로만 평가되고 있다는 비판은 이미 기정사실이 돼 버…
[미대 추천작가 ⑩ - 가천대 김선용] 한없이 날것에 가까운 레드
서양 속담에 ‘보는 것이 믿는 것’이란 말이 있다. 요즘 시대에는 보는 것이 곧 욕망하는 것이라고 바꿔 말해야 할 것 같다. 눈에 띄는 모든 것이 갖고 싶고, 되고 싶게 부추긴다. 자신이 진짜 원하는 바를 알기 전에 누군가의 욕망을 더 크고 멋지게 보는 시선을 먼저 알게 된다. 또한 본인의 욕망을 억압…
[이슈 - 미술유통 규제법] 佛 ‘보증서’ 美 ‘감정사 교육’…한국은…
(CNB저널 = 김금영 기자) 국내 미술계가 위작 논란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6월 ‘미술품 유통 투명화 및 활성화를 위한 1차 토론’이 열렸다. 당시 비교 사례로 프랑스와 미국이 언급되기는 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이 소개되지는 않았다.이어 7월 7일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2차 세미나가 열렸…
[이슈 - 미술유통 규제법] 미술계 "시기상조" vs 전문가들 "시장실패…
(CNB저널 = 김금영 기자) 2005년과 2008년. 이중섭의 ‘물고기와 아이’ 그리고 박수근의 ‘빨래터’ 위작 논란이 미술계를 발칵 뒤집었다. 당시 모든 언론이 이 위작 논란으로 도배됐다. 이중섭 사건은 위작으로 판명됐으나, 박수근 사건은 아직 풀리지 않은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그로부터 어언 1…
5771
5772
5773
5774
5775
5776
5777
5778
5779
5780
CNB 저널
FACEBOOK
다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