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전체기사
·
[화랑가 - 디지털 갤러리] 온라인 관람이 실제관람보다 낫다고?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왕진오 기자) 미술관이나 갤러리를 직접 가지 않더라도 언제 어디서든 작품에 대한 설명과 작가를 만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속속 등장하면서 가상공간에서 예술 작품을 손쉽게 접하는 기회가 늘고 있다.‘e-book’, ‘QR코드(바코드보다 많…
[커버 아티스트 - 임소아] 세계의 기하학적 환원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글·고충환 미술평론) 폴 세잔은 세계를 원통이나 원뿔 등 최소한의 기하학적 형태로 환원할 수 있다고 했다. 더불어 몬드리안은 그 논리의 연장성에서 수평선과 수직선의 교직을 조율하는 것만으로도 형상을 다 표현할 수 있다고 했다.이를테면 지…
김태희 작가, 인사동 리서울갤러리에서 두 번째 개인전
김태희 작가의 두 번째 개인전이 서울 인사동 리서울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다.●전 시 명 : 김태희 개인전 - 라온힐조: Early Morning Joy●기 간 : 11월 4(수)~10일(화)●장 소 : 서울 종로구 인사동길 22-2 리서울갤러리 (인사동 4거리 새마을금고 안쪽 전용엘리베이터 2층)●시 간 : 오전 10:30~ 오후 6:3…
[영화평] 황량한 커피샵의 따뜻한 인생살이 ‘세상의 끝에서 커피 한…
‘세상의 끝에서 커피 한 잔’(도키 엔터테인먼트/홀리가든 배급)은 대만 여류감독 치앙시우청(姜秀瓊)이 만든 최근 일본 영화(2014년)다(국내 개봉은 11월 5일). 작은 스케일의 영화라는 점에서 올해 개봉되었던 일본 영화 ‘심야식당’과도 비교할만하다. 외면적 차이는 ‘세상의 끝에서…’가 대…
역대 대통령 취임사 속 '국민'을 바라보는 시각 재조명
(CNB저널 = 왕진오 기자) 박정희, 최규하,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등 아홉 명의 전 현직 대통령 취임연설이 동시에 한 공간에 울려 퍼진다.하지만 아홉 명의 취임연설을 상영하는 화면 속 소리는 '국민'이라는 단어를 제외하고는 모두 음소거가 되어 들을 수 없다. 대통…
해외 반출된 문화재, 경매 통해 100년 만에 국내 환수 예정
(CNB저널 = 왕진오 기자) 조선시대 백자대호, 고려시대 나전칠기 등 해외로 반출됐던 문화재급 유물 55점의 국내 반환 길이 열릴 전망이다.서울옥션은 11월 29일 홍콩 현지에서 개최하는 제17회 홍콩경매 '고미술편'에 출품작 62점 중 55점이 한 명의 일본 컬렉터에 의해 위탁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한국화 끝없는 추락… 한국화 6대가 낙찰총액 15년간 142억
(CNB저널 = 왕진오 기자) 서구 미술과 설치작업 그리고 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작품들이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화랑가에서 한국화는 천덕꾸러기 신세로 전락한 지 오래다. 전시장에서 한국화를 찾는 것도 힘들고, 거래도 서양화 작가의 아마추어급으로 취급되고 있는 것도 그 반증이다.여기에 지난 10…
4DX, 32개국 187개 상영관에서 누적 관객수 최단 기간 1천만 돌파
(CNB저널 = 왕진오 기자) 오감체험 특별 영화관 4DX의 연간 글로벌 누적 관객수가 최단 기간 1000만 명을 돌파했다.CGV 자회사 CJ 4D PLEX는 올해 1월부터 10월 29일까지 10개월 만에 연간 누적 관람객 수가 1000만 명을 돌파했다고 5일 밝혔다. 한국, 중국, 미국, 일본 등 32개국 187개 4DX 상…
[아트 북] 서진수 ‘단색화 미학을 말하다’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김금영 기자) 2014년 이후 국내외 미술 시장의 단색화에 대한 관심은 열기가 점점 더해지고 있다. 이 책은 미술 시장에서 단색화 붐이 일고 있는 가운데, 시장과 평론의 결합을 다루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책 제목인 ‘단색화 미학을 말하다…
[아트 북] 이소영 ‘명화 보기 좋은 날’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CNB저널 = 김금영 기자) 시대가 많이 달라졌고 미술관들이 다양한 전시 프로그램으로 사람들을 유혹하고 있지만, 보통 사람들에게 여전히 미술관 문턱은 높다. 그림을 배우기만 했던 학창 시절 때문에 그림에 담긴 의미, 미술사, 기법 등을 모르고 그림을 보면…
5911
5912
5913
5914
5915
5916
5917
5918
5919
5920
CNB 저널
FACEBOOK
다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