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전체기사
·
[도서]‘우리집, 구경할래?’
‘우리집, 구경할래?’ 뉴욕의 패션 사진작가이자 일러스트레이터인 토드 셀비. 그가 다양한 직업에 종사하는 유명인들의 일상과 그들의 집, 일하는 공간을 소개한다. 이 책에는 그가 사진 작업을 통해 친분을 쌓은 배우·건축가·예술가·패션 디자이너 등 다양한 크리에이터들의 일상이 담…
[도서]‘예술, 상처를 말하다’
‘예술, 상처를 말하다’ 생전에 불운했던 예술가들의 작품에는 불행했던 삶이 투영되면서 고난을 극복한 ‘투사’의 이미지가 덧씌워지기 쉽다. 온갖 역경을 딛고 일어선 그들은 평범한 이 시대 사람들에게는 존경의 대상이다. 이 책에서는 그들에게 붙어 있는 모든 꼬리표를 떼고 새로운 시…
[도서]‘도시디자인 공공디자인’
‘도시디자인 공공디자인’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디자인 붐이 일기 시작한 대한민국. 하지만 지자체들이 서로 경쟁적으로 계획하고 진행하다보니 결국 의미도 모르고 개성도 상실한채 모방에 그치는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뒤늦게나마 각 도시마다 전문가를 두고 우리에게 어울리…
[도서]‘아티스트에게 묻다’
‘아티스트에게 묻다’ 서울에서 활동하는 작가·큐레이터·비평가 등 예술 현장 전문가 16명과 런던에서 활동하는 전문가 16명에게 당대의 사회 현실에서 예술의 역할과 의미에 대해 물었다. 이들은 창작 인프라가 좋아졌지만, 한편으로는 시장의 영향이 증대하면서 과거 현대예술이 이룬…
[아트인 선정 전시]갤러리 빔 ‘자연은 밥상이다’
갤러리 빔은 2012년 첫 전시로 ‘자연은 밥상이다’ 사진전을 1월 3~17일 연다. 이번 사진전은 강원도 평창군 용평읍 도사리라는 70가구 남짓이 사는 작은 마을의 먹을거리와 그곳에 사는 어르신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전국이 도시화의 길을 걷는 요즘 의식주 전반에 걸쳐 전통적인 모습을 보기가 점…
[아트인 선정 전시]이랜드스페이스 ‘재료의 연금술사’ 전
이랜드스페이스가 1월 3~30일 한 달간 ‘재료의 연금술사’ 전을 연다. 이번 전시는 기존의 전통적인 창작 재료를 사용하는 것에서 벗어나 오브제 및 다양한 기성 재료를 작품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작가를 선별했다. 물질로 자신만의 작품 세계를 특화시킨 작품을 선보임으로써 현대미술의 다양성…
[아트인 선정 전시]아트사이드 갤러리 ‘김희숙 개인전 - 꽃으로 말하…
미국 펜실베이니아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작가 김희숙의 개인전 ‘Let Flowers Speak(꽃으로 말하라)’가 아트사이드 갤러리에서 1월 13~29일 열린다. 작가는 에너지 충만한 새해의 벽두를 사유의 꽃으로 장식했다. 여기서 ‘사유의 꽃’이란 이름은 작품이 꽃을 주제로 한 이유도…
“차학경·김구림 작가에 재조명 필요”
2000년 이후 한국 미술의 흐름과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미술평론가 큐레이터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가 2011년 12월 26일 김달진미술연구소에서 발표됐다. 이번 조사는 총 8개 문항을 100명에게 물었고, 이 중 53명의 답변을 토대로 순위가 매겨졌다. 특이한 점은 2000년 이후 기획력이…
[창작스튜디오 특집]서울시창작공간을 가다 - 4 ‘성북예술창작센터…
옛 성북구보건소 공간을 활용해 지역 내 문화예술 창작공간으로 조성된 성북예술창작센터는 예술가를 위한 창작 및 시민을 위한 교류 공간이다. 지하 1층에 지상 4층 및 옥상으로 이뤄졌으며 갤러리, 다목적 홀, 주민 창작실, 입주단체 스튜디오 등으로 다양한 운용이 가능하다. 예술가와 시민…
[창작스튜디오 특집]서울시창작공간을 가다 - 3 ‘문래예술공장’
철공소 장인들의 숨결이 예술가들의 열정으로 다시 태어난 곳이다. 문래예술공장은 국내외 다양한 예술가들을 위한 지원 센터로, 문래동의 옛 철공소 단지 자리에 2010년 1월 개관했다. 자생적 예술마을로 알려진 ‘문래창작촌’의 예술역량을 지원함으로써 지역문화 활성화 및 주민과의 문화적 소통…
6641
6642
6643
6644
6645
6646
6647
6648
6649
6650
CNB 저널
FACEBOOK
다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