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이미지
작품의 제작과정 노출하는 경기도미술관 개관 10주년 특별전 'G-Live…
경기도미술관은 7월 7일~9월 18일 경기도미술관 2층 기획전시실 D존에서 ‘G-Live : Fabien Taeyoung’전을 개최한다. 이 전시는 한국메세나협회 매칭 펀드를 통한 예산후원으로 이뤄진 협력 기획전이며, 경기도미술관의 개관 10주년 특별전으로 기획됐다. ‘G-Live : Fabie…
대표이미지
갤러리반디트라소, 친숙하고도 낯선 DMZ 그리는 손기환 개인전
우리에게 친숙하면서도 낯선 이중적 공간. DMZ를 주제로 작업을 해오고 있는 손기환 작가의 'DMZ - 155마일'전이 갤러리반디트라소에서 7월 7~23일 열린다.작가는 분단과 통일이라는 다소 무거운 정치적 이슈로 인식되고 있는 DMZ에 대한 물리적 이미지를 그려낸다. 일반적으로 금지된 정원의…
대표이미지
국내 첫 입체 조형을 위한 아트페어 ‘조형아트서울(PLAS)'개최
미술시장, 특히 경매 시장에서 그나마 예전에는 간간히 보이던 작은 조각 작품들도 안 보이기 시작한 지 꽤 된 것 같다. 회화 중심의 작품들로만 미술품 거래가 이뤄지다 보니, 입체 조형작품에 대한 관심은 멀어지는 것은 물론, 예술품이 금전적 가치로만 평가되고 있다는 비판은 이미 기정사실이 돼 버…
대표이미지
[이색 전시 - 국제갤러리 ‘유명한 무명(wellknown unknown…
너도 나도 유명해지길 원하는요즘, 사라진 무명의 가치를 되새기는 전시가 열렸다. 앤디 워홀이 한 말이라고 잘못 알려진 “일단 유명해져라. 그러면 사람들은 당신이 똥을 싸도 박수쳐줄 것이다”라는 이 문장은 특히 예술 계통에서 ‘유명해지면 무얼 해도 용인되고, 모든걸 얻을 수 있다’는 의미로…
대표이미지
[건축] 미술관 앞마당에 불시착한 폐선박
(CNB저널=안창현 기자) 35년 전 모래와 컨테이너 박스를 싣고 전 세계를 누비던 60톤 화물선이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마당에 모습을 드러냈다. 화물선 앞 일부분만 옮겨왔지만, 그 크기는 상당했다. 뜨거운 여름철, 미술관을 오가는 사람들이 잠시 햇볕을 피해 쉴 수 있는 휴식 공간으로도 그만일 것 같…
대표이미지
[문화경제 - CNBOX] 가상현실 활용한 재난교육 콘텐츠 개발
(CNB저널=안창현 기자) 올해 초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5G를 향하여’란 TV 광고가 방영됐다. KT가 제작한 이 광고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가상현실이나 홀로그램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멀리 있는 시청자들도 올림픽을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내용을 담았다.5G는 현…
대표이미지
[영화 vs 뮤지컬] '스위니토드', 원조 뮤지컬의 위엄
(CNB저널 = 김금영 기자) “찌이이이이잉!” 막이 오르고 고막을 찌르는 섬뜩한 소리에 주변의 관객들도 동시에 살짝 비명을 질렀다. 이어 “들어는 봤나, 스위니토드, 창백한 얼굴의 한 남자”라며 배우들이 입을 맞춰서 노래를 부르기 시작한다. 막의 시작이 산뜻 발랄하지 않다. 배우들의 얼굴은 새…
대표이미지
[문화] 화려 무대-잔잔 감동-화끈 액션 중 더위 타파 최고는?
(CNB저널 = 김금영 기자) 7월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에 들어섰다. 피서를 앞두고 비행기, 버스, 열차 등 예매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또 뜨거운 현장이 있어 눈길을 끈다. 다양한 문화 콘텐츠들이 7월 선보이며 관객 몰이에 나섰다. 미처 여름휴가를 떠나지 못하거나, 아직 계획이 없는 사람들의 발길을 사…
대표이미지
[이슈 - 미술유통 규제법] 佛 ‘보증서’ 美 ‘감정사 교육’…한국은…
(CNB저널 = 김금영 기자) 국내 미술계가 위작 논란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6월 ‘미술품 유통 투명화 및 활성화를 위한 1차 토론’이 열렸다. 당시 비교 사례로 프랑스와 미국이 언급되기는 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이 소개되지는 않았다.이어 7월 7일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2차 세미나가 열렸…
대표이미지
[이슈 - 미술유통 규제법] 미술계 "시기상조" vs 전문가들 "시장실패…
(CNB저널 = 김금영 기자) 2005년과 2008년. 이중섭의 ‘물고기와 아이’ 그리고 박수근의 ‘빨래터’ 위작 논란이 미술계를 발칵 뒤집었다. 당시 모든 언론이 이 위작 논란으로 도배됐다. 이중섭 사건은 위작으로 판명됐으나, 박수근 사건은 아직 풀리지 않은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그로부터 어언 1…
1 2


배너

포토뉴스

more
배너